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오만 傲慢


 태도가 오만하다 → 몸짓이 건방지다 / 몸짓이 버릇없다

 오만하게 쳐들었다 → 함부로 쳐들었다 / 뻐기며 쳐들었다

 오만한 말투 → 괘씸한 말씨 / 짓궂은 말씨 / 주제넘은 말씨


  ‘오만(傲慢)’은 “태도나 행동이 건방지거나 거만함”을 뜻한다고 합니다. ‘거만(倨慢)’은 “잘난 체하며 남을 업신여기는 데가 있음”을 뜻한다고 해요. 그러니까 ‘거드름·거드럭거리다·거들거리다·거들먹거리다’나 ‘건방지다·괘씸하다·기어오르다·까불다’로 손봅니다. ‘까지다·깔보다·깔아뭉개다·껄렁·꼴값하다’나 ‘꼼수·꽁·꽁꽁대다·꽁하다·꿍하다’로 손보고, ‘나대다·나부대다·도도하다·되바라지다·바라지다·버릇없다·버르장머리없다’로 손볼 만합니다. ‘눈멀다·덜먹다·똥오줌 못 가리다’나 ‘닥치다·닥쳐들다·닥쳐오다·덤비다·덤벼들다’로 손보고, ‘마구·마구잡이·마음대로·맘대로·막나가다·함부로’나 ‘막하다·망탕·멋대로·멋모르다·제멋대로·제맘대로’로 손보면 돼요. ‘몹쓸·못되다·무람없다·미다’나 ‘버젓이·어디·이런’으로 손보며, ‘비싸다·값비싸다·값세다’나 ‘뻐기다·뻔뻔하다·뽐내다’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말이 안 되다·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터무니없다’나 ‘좁다·비좁다·속좁다·좁쌀·좁싸라기’로 손보지요. ‘야코·얄궂다·짓궂다·어리석다·업신여기다’나 ‘우쭐거리다·자랑·잘난척·잘난체·젠체하다’로 손보고, ‘있는 척·있는 체·주제넘다·주제모르다·주제없다’나 ‘지랄·지랄맞다·-질·짓·짓거리’로 손봅니다. ‘짜다·쩨쩨하다·쪼잔하다·쫄래쫄래·쭐래쭐래’로 손보며, ‘철없다·철딱서니없다·헤다·호로놈·호래놈·후레놈’이나 ‘콧대·콧대높다·콧대세우다·콩켜팥켜’로 손볼 수 있습니다. ㅍㄹㄴ



기자는 숙명적으로 ‘내가 쓴 이 기사가 현상과 본질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다’는 전제 아래 독자를 만나는 오만한 존재이다

→ 글바치는 워낙 ‘내가 쓴 이 글이 이야기와 속내를 가장 잘 드러낸다’고 우쭐대며 사람들을 만난다

→ 글님은 모름지기 ‘내가 가장 훌륭히 썼다’고 자랑하며 사람들을 만난다

→ 글꾼은 얄궂게 ‘내가 가장 잘 썼다’고 뻐기며 사람들을 만난다

→ 글쟁이는 으레 ‘내가 가장 잘 썼다’고 내세우며 사람들을 만난다

《대한민국 특산품 오마이뉴스》(오연호, 휴머니스트, 2004) 31쪽


예의 그 오만한 표정을 지으며

→ 예전처럼 건방진 낯빛으로

→ 바로 괘씸한 얼굴빛을 지으며

→ 우쭐대는 낯빛을 노상 지으며

→ 다시 거들먹거리는 낯빛으로

→ 곧바로 잘난체하는 낯빛으로

《바람이 들려주는 노래》(토마스 야이어/신홍민 옮김, 양철북, 2009) 203쪽


이런 오만한 수법으로 건설 계획을 진행시키다가는

→ 이런 건방진 길로 세우려고 밀어붙이다가는

→ 이처럼 터무니없게 지으려고 이끌다가는

→ 이처럼 말도 안 되게 지으려 하다가는

《우리 마을 이야기 3》(오제 아키라/이기진 옮김, 길찾기, 2012) 123쪽


공통적 문제는 교만이고 오만입니다

→ 똑같이 잘난 체와 건방입니다

→ 똑같으니 우쭐과 건방입니다

→ 똑같은데 건방에 버릇없습니다

《10대와 통하는 기독교》(손석춘, 철수와영희, 2013) 216쪽


상층에는 자신들이 오만했다는 걸 알려주지

→ 위칸에는 그들이 건방졌다고 알려주지

→ 위쪽에는 그네가 잘난척했다고 알려주지

《토성 맨션 7》(이와오카 히사에/송치민 옮김, 세미콜론, 2015) 86쪽


고대를 비판하면서 현대가 도덕적으로 우월하다는 오만한 견해를 내놓기도

→ 옛적을 따지면서 오늘이 한결 낫다는 건방진 생각을 내놓기도

→ 옛날을 나무라면서 오늘날이 더 아름답거나 착하다며 잘난 체하기도

《고대 그리스사》(토머스 R.마틴/이종인 옮김, 책과함께, 2015) 16쪽


욕심 많은 아들이 오만하게 말했다

→ 더 노리는 아들이 건방지게 말했다

→ 저만 아는 아들이 주제넘게 말했다

→ 더 갖고픈 아들이 버릇없게 말했다

《경국대전을 펼쳐라!》(손주현, 책과함께어린이, 2017) 147쪽


오만과 무도(無道)를 바로 간파할 수 있었다

→ 거들먹과 막짓을 바로 읽을 수 있다

→ 뻔뻔과 마구잡이가 바로 드러난다

《검찰개혁과 촛불시민》(조국백서추진위원회, 오마이북, 2020) 54쪽


제멋대로에 오만한, 철부지 아가씨

→ 제멋대로에 거드름, 맹한 아가씨

→ 제멋대로에 건방진, 바보 아가씨

→ 제멋대로에 까부는, 멍청한 아가씨

《네가 내 마음에 자리 잡았다 11》(텐도 키린/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3) 3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