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읽기 / 숲노래 책빛
이른버스
마을앞을 지나는 첫 시골버스를 타면, 고흥읍으로 모여서 논밭일을 가려고 줄서는 베트남 이웃일꾼을 만난다. 으레 스무 사람쯤 줄서는데, 다들 첫 시골버스를 타고서 읍내에 모이고, 다시 다른 시골버스를 타고서 어느 논밭으로 간다.
오늘은 셈겨룸(입시)을 치르는 날이라고 한다. 어제부터 마을알림으로 시끄럽다. 영어듣기평가를 할 적에는 모든 길을 막고서 시골버스도 안 다닌다고 한다. 문득 참 유난을 떤다고 느낀다. 이 나라에서 푸른씨를 쳐다보거나 헤아리는 때는 고작 셈겨룸에서 영어듣기평가로구나. 이때를 빼고서 한 해 가운데 하루조차도 푸른씨 목소리를 안 듣고서 그저 돌림질(학원뺑뺑이)에 가두는 수렁이니까.
왜 여느때에는 어린씨랑 푸른씨 목소리를 안 들을까. “왜? 왜? 왜?” 하고 물으려다가 그만둔다. 곰곰이 보면, 나라지기도 나라일꾼(의원·공무원)도 어린이책이나 푸른책을 곁에 안 두기 일쑤이고, 아예 모르기도 한다. 그림책을 읽는 나라지기가 있는가? 아이를 낳지 않았어도 어린이책과 푸른책을 틈틈이 읽으면서 어린이와 푸름이하고 말을 섞는 나라일꾼은 몇이나 있는가.
오늘은 지난해보다 덜 얼었지 싶다. 어쩐지 올해 이맘때 하늘은 예전보다 미움과 걱정이 한풀 꺾였구나 싶다. 우리 마음은 늘 날씨로 모여서 드러난다. 포근히 사랑하는 마음이면 다 푼다. 매섭게 노려보거나 겨냥하거나 손가락질하면 온누리가 들썩들썩 아프다. 나는 열한달 열셋쨋날인 오늘도 맨발고무신이다. 아직 긴바지를 입을 만큼 바람이 안 차고, 버선을 꿸 만큼 길이 얼지 않았다. 누구나 스스로 따스하게 마음을 다스리면 한겨울에 꽁꽁 얼어붙어도 안 추울 만하다.
천천히 걷히는 구름을 바라보며 걷는다. 순천을 거쳐서 돌고돌아 창원으로 나아간다. 흔들대는 버스에서 글을 쓴다. 책을 셋 챙긴다. 창원대학교에서 이야기를 펴는 하루이다. 이야기꽃을 마치면 창원책집이며 마산책집에 들러서 긴저녁과 긴밤을 책노래로 누리려고 한다.
뿌우웅 하면서 칙폭이가 들어온다. 이제 자리에 앉으면 눈을 조금 붙여야겠다. 아무쪼록 온누리가 어린씨를 첫째로 마주하고서, 푸른씨를 나란히 바라보려는 마음이기를 빈다. 어른이라면 누구나 어린씨랑 푸른씨 곁에 있어야 참하고 착하게 모두 바꾸고 가꾸고 일군다. 어느 길이든 너랑 내가 함께 낸다. 함께 걷고 함께 쉬고 함께 노래하는 길이다. 2025.11.13.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