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최소 最小
최소 범위 → 적어도 / 못해도 / 이나마
최소 크기 → 가장 작은 / 조그마한 / 자그마한
최소 집단 → 작은 모둠 / 한줌
‘최소(最小)’는 “수나 정도 따위가 가장 작음”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작다·자그맣다·조그맣다·조금·어리다’나 ‘못해도·적어도·그나마·이나마’로 손봅니다. ‘얼추·아무래도·아무려면·안돼도’나 ‘그쯤·그뿐·그러니까·그래도·하다못해’로 손봐요. ‘이뿐·이쯤·이루다’나 ‘밑·밑동·밑바닥·밑바탕·바탕’으로 손보고, ‘밑자리·밑칸·밑밥·밑판·밑틀’이나 ‘무릇·먼저·모름지기·무엇보다·뭐’로 손볼 만합니다. ‘다만·다문·마땅히’나 ‘맨끝·맨뒤·맨밑·터럭·털·털끝만큼’으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몇·몇 가지·몇몇·몇 곳·몇 군데’나 “몇 없다·몇 가지 있는·몇 안 되다”로 손볼 수 있어요. ‘씨앗·씨알’이나 ‘얼마·얼마 없다’로 손보지요. ‘살짝·살며시·살그머니’나 ‘슬쩍·슬며시·슬그머니’로도 손봅니다. ‘하나·한·한줌·한주먹’으로 손봐도 되어요. ㅍㄹㄴ
이 집의 높이는 2.5m이다(최소 규정의 스케일이다)
→ 이 집 높이는 2.5m이다(적어도 이 크기여야 한다)
→ 이 집은 높이가 2.5m이다(적어도 이만 해야 한다)
《작은 집》(르 꼬르뷔제/황준 옮김, 미건사, 1994) 12쪽
최소 한 시간은
→ 다만 한 각단은
→ 얼추 한 깃은
《작업실 탐닉》(세노 갓파/송수진 옮김, 씨네북스, 2010) 60쪽
최소 조건 : 3년간 1,000권을 읽는다
→ 적어도 : 세 해 1,000자락을 읽는다
→ 못해도 : 세 해 1,000자락을 읽는다
《48분 기적의 독서법》(김병완, 미다스북스, 2011) 282쪽
최소 한 문제는 맞출 수 있을 거란 잔꾀가 원시적이야
→ 적어도 하나는 맞출 수 있으리란 잔꾀가 케케묵어
→ 못해도 하나는 맞출 수 있으리란 잔꾀가 고리타분해
《치이는 조금 모자라》(아베 토모미/정은서 옮김, 박하, 2018) 21쪽
최소 두 달이 지나서도 기억한다는 사실까지 발견했지요
→ 두 달이 지나서도 떠돌리는 대목까지 알아냈지요
《샤크 레이디》(제스 키팅·마르타 알바레스 미구엔스/정수진 옮김, 청어람아이, 2018) 25쪽
식물 그림은 그리는 식물 종에 대해 깊이 조사하고 전 생애를 관찰하여 최소 1년에 걸쳐 제작됩니다
→ 풀꽃을 살피고 온삶을 들여다보며 적어도 한 해에 걸쳐서 그립니다
→ 풀을 그리기까지 온살이를 살피며 적어도 한 해를 들입니다
→ 풀꽃을 그리려면 온살림을 들여다보면서 적어도 한 해를 보냅니다
《식물학자의 노트》(신혜우, 김영사, 2021) 5쪽
이 책의 주인은 제가 아니라 말의 최소단위인 단어이기를 바라기 때문이에요
→ 이 책은 제가 아니라 말에서 밑동인 낱말이 임자이기를 바라기 때문이에요
→ 이 책은 제가 아니라 말을 이루는 낱말이 기둥이기를 바라기 때문이에요
《단어의 집》(안희연, 한겨레출판, 2021) 6쪽
전지로 최소 다섯 장은 필요했다
→ 큰판 다섯 자락을 사야 했다
→ 적어도 한판 다섯을 사려 했다
→ 온판으로 다섯을 갖추려 했다
《우표의 세계》(서은경, 현암사, 2023) 25쪽
최소 세 마리다. 느낌적(?) 느낌으로는 다섯 마리쯤 되는 듯하다
→ 적어도 셋이다. 아마 다섯 마리쯤 되는 듯하다
→ 적어도 셋, 얼추 다섯 마리쯤 되는 듯하다
《1일 1새 방구석 탐조기》(방윤희, 생각정원, 2023) 4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