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의 칭찬


 누구의 칭찬도 원하지 않아 → 누가 추키길 바라지 않아

 아빠의 칭찬을 듣고서 → 아빠 얘기를 듣고서 / 아빠가 북돋아 주어서

 나의 칭찬은 불필요하니 → 내가 노래 안 해도 되니


  ‘칭찬(稱讚)’은 “좋은 점이나 착하고 훌륭한 일을 높이 평가함. 또는 그런 말 ≒ 찬칭·칭미·칭양·칭예”를 가리킨다지요. ‘-의 + 칭찬’ 얼거리라면 ‘-의’부터 털고서 “높이 사다·높이 여기다”나 ‘기리다·노래하다’나 ‘돋보다·도두보다’로 손볼 만합니다. ‘부풀리다·불리다·북돋우다’나 ‘올리다·받들다·떠받들다’로 손보거나, ‘추다·추키다·추켜세우다·치켜세우다·치킴질’로 손보아도 돼요. ‘좋다·좋아하다’나 ‘말·말씀·이야기·얘기’로 손볼 자리도 있습니다. ㅍㄹㄴ



무언의 칭찬을 하는 거구나

→ 말없이 치켜세우는구나

→ 넌지시 추키는구나

→ 조용히 북돋우는구나

→ 살며시 높이는구나

→ 말은 없어도 올리는구나

→ 말은 안 해도 띄우는구나

→ 에둘러 받드는구나

→ 마음으로는 기리는구나

《사진으로 생활하기》(최광호, 소동, 2008) 138쪽


엄마의 칭찬이 좋아서

→ 엄마가 높이 사니 좋아서

→ 엄마 말씀이 좋아서

《오늘도 핸드메이드! 3》(소영, 비아북, 2017) 3쪽


하지만 사슴벌레의 칭찬은 두더지에게 전혀 위로가 되지 않았어

→ 그렇지만 사슴벌레가 추켜도 두더지는 마음이 낫지 않아

→ 그런데 사슴벌레가 달래도 두더지는 마음이 녹지 않아

《힘내, 두더지야》(이소영, 글로연, 2024) 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