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제 祭


 기우제 → 비나리

 예술제 → 꽃마당 / 아름판

 위령제 → 기림판 / 넋씻이

 추모제 → 눈물자리 / 눈물절


  ‘-제(祭)’는 “‘제사’ 또는 ‘축제’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외마디 한자말을 붙이면 하나같이 일본말씨입니다. 우리말씨로는 ‘마당·자리·잔치·판’이나 ‘기리다·기림꽃·기림빛·기림질’로 손볼 만하고, ‘놀이·놀이하다·놀음’이나 ‘모시다·모심·모심길·모심손’으로 손봅니다. ‘비나리·비나리판·비나리꽃’이나 ‘빌다·엎드리다·납작·넙죽’으로 손보지요. ‘절·큰절·절하다’로 손볼 만해요. ‘올리다·올림꽃·올림자리’나 ‘따르다·그저 따르다·그냥 따르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학원제에서 집사 코스프레로 우승해서 받은

→ 배움잔치에서 지킴이로 꾸미고 이겨서 받은

→ 배움마당에서 살림꾼 차림으로 이겨서 받은

《이치고다 씨 이야기 5》(오자와 마리/황경태 옮김, 학산문화사, 2011) 59쪽


팬에 대한 감사제라는 의미가 메인이잖아

→ 즐겨찾아 고맙다는 뜻이 바탕이잖아

→ 반겨 주어 고맙다는 뜻을 펴잖아

→ 즐김이 기쁨잔치라는 뜻으로 하잖아

《하루카의 도자기 2》(플라이 디스크 글·니시자키 타이세이 그림/윤지은 옮김, 대원씨아이, 2012) 98쪽


문화제 일일 가게에서 누가 맛을 따진다고 그래

→ 잔칫날 하루가게에서 누가 맛을 따진다고 그래

→ 온마당 오늘가게에서 누가 맛을 따진다고 그래

《사야와 함께 3》(타니카와 후미코/문기업 옮김, AK comics, 2017) 65쪽


제1회 꽁치제를 거행하겠습니다

→ 첫 꽁치잔치를 열겠습니다

→ 첫 꽁치마당을 펴겠습니다

→ 첫 꽁치한마당을 하겠습니다

《경계의 린네 26》(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8) 135쪽


영화도 예술제에 출품한 고상한 작품만 보지 마시고

→ 영화도 예술판에 나온 무게있는 것만 보지 마시고

→ 영화도 예술마당에 나온 훌륭한 것만 보지 마시고

《친애하는 미스터 최》(사노 요코·최정호/요시카와 나기 옮김, 남해의봄날, 2019) 54쪽


우리가 폐막제에 나갈 수 있는 건 내후년일 테고

→ 우리가 끝맞이에 나가려면 다다음해일 테고

→ 우리가 마감꽃에 나가려면 이태 뒤일 테고

→ 우리가 끝잔치에 나가려면 두 해 뒤일 테고

《평범한 경음부 5》(쿠와하리·이데우치 테츠오/이소연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5) 18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