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양가적


 양가적인 감정의 원인은 → 두마음이 생기는 까닭은 / 마음이 엇갈리는 까닭은

 양가적 선택의 고민에 빠져 있는 → 둘 사이에서 무엇을 고를지 걱정인

 양가적인 캐릭터를 연기하다 → 엇갈린 두 얼굴을 선보이다


  ‘양가적’은 낱말책에 없는데 ‘兩價的 ’처럼 쓰지 싶어요. 그런데 ‘양가(兩價)’란 한자말도 낱말책에 없어요. 일본 낱말책에서도 찾기 어렵습니다. 누가 이런 한자말을 지었는지 모르나, ‘두·둘·두빛·두동지다·두동강·두조각’이나 ‘두마음·두생각·두가름·두갈래·두느낌’으로 고쳐씁니다. ‘엇갈리다·어긋나다·어그러지다’로 고쳐쓰고요. “둘 사이·앞뒤 다르다·말과 삶이 다르다·다른말삶”이나 ‘이런저런·이래저래·이랬다저랬다’로 고쳐쓰고, ‘흔들리다·뒤죽박죽·갈팡질팡’으로 고쳐쓸 만해요. ‘나풀거리다·나불거리다·기울다’나 ‘뒤뚱거리다·떨어지다·벌어지다’로 고쳐씁니다. ‘망설이다·서성이다·얼쩡거리다’나 ‘엉거주춤·오락가락·주춤거리다’나 ‘틀리다·틀어지다·휘청’으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뭐 저런 개차반 같은 녀석이 있어?” 하는 양가적인 감정에 시달릴 수 있음

→ “뭐 저런 개밥 같은 녀석이 있어?” 하는 두 가지 생각에 시달릴 수 있음

→ “뭐 저런 개똥 같은 녀석이 있어?” 하는 이런저런 생각에 시달릴 수 있음

→ “뭐 저런 개 같은 녀석이 있어?” 하는 이 생각 저 생각에 시달릴 수 있음

→ “뭐 저런 몹쓸 녀석이 있어?” 하는 두마음에 시달릴 수 있음

→ “뭐 저런 더러운 녀석이 있어?” 하는 엇갈린 생각에 시달릴 수 있음

《열정시대》(참여연대 기획/김진아와 아홉 사람, 양철북, 2009) 14쪽


생각하면 할수록 빚지고 있는 듯하면서도 왠지 얄미운, 양가적인 감정을 품게 된다

→ 생각하면 할수록 빚지는 듯하면서도 왠지 얄미운, 두마음을 품는다

→ 생각하면 할수록 빚지는 듯하면서도 왠지 얄미운, 엇갈린 마음이 된다

→ 생각하면 할수록 빚지는 듯하면서도 왠지 얄미운, 흔들리는 마음이 된다

《당신에게 말을 건다, 속초 동아서점 이야기》(김영건, 알마, 2017) 35쪽


그 양가적인 감정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서재에 대한 집착이 생겨났는지도 모르겠다

→ 그 두 마음 사이에서 시나브로 책터에 얽매였는지도 모르겠다

→ 그 엇갈린 마음 사이에서 저절로 책칸에 끌려들었는지도 모르겠다

→ 그 뒤죽박죽인 마음 사이에서 어느새 책마루에 사로잡혔는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서재》(김윤관, 제철소, 2017) 88쪽


그가 내게 분명히 양가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 그가 내게 틀림없이 두모습을 보이는 줄을 헤아릴 때

→ 그가 나한테 아무래도 두동지게 구니

→ 그가 나한테 이래저래 엇갈린 모습을 보이니

→ 그가 나한테 여러모로 어긋난 모습이니

《밈 : 언어가 사라진 세상》(앨리너 그래이든/황근하 옮김, 겊은숲, 2017) 200쪽


요새 뮤지컬을 자주 번역하면서 양가적인 감정을 느낀다

→ 요새 춤노래를 자주 옮기면서 두 마음이다

→ 요새 판노래를 자주 옮기면서 둘을 느낀다

《오역하는 말들》(황석희, 북다, 2025) 6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