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콧구멍만 바쁘다 - 이정록 동시집
이정록 지음, 권문희 그림 / 창비 / 2009년 10월
평점 :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5.10.10.
노래책시렁 510
《콧구멍만 바쁘다》
이정록
창비
2009.10.5.
어린이는 “학교나 학원에 가야 하”지 않습니다. 어린이는 스스로 하루를 그리면서 신나게 놀며 배우는 길을 누리려고 어버이 곁으로 찾아왔습니다. 예부터 모든 어버이는 아이곁에서 일하고 살림했습니다. 어버이라면 아이를 집에 놓고서 밖으로 돈벌러 안 다녔어요. 어버이는 늘 집이 살림터이면서 일터인 얼거리였고, 아이는 어른곁에서 어깨너머로 지켜보면서 소꿉을 하며 삶을 배우고 살림을 느끼며 생각을 키우는 하루였습니다. 이제 웬만한 집마다 아침부터 아이어른이 갈라섭니다. 아이는 ‘학교’란 이름인 곳으로 가고, 어른인 ‘직장’이란 이름인 데로 가요. 아이어른은 저녁이나 밤이 되어서야 다시 만나는데, 이미 하루 내내 밖에서 뛰거나 움직이느라 지칩니다. 배울거리도 얘깃거리도 살림거리도 그냥그냥 혼자 속으로 품은 채 자리에 누워요. 《콧구멍만 바쁘다》는 못 쓴 글은 아니라고 느끼되, 이 글로 다루는 아이랑 어른은 느긋이 만나고 어울리면서 이야기할 짬이 하나도 없습니다. 깊고 넓게 하루를 들여다볼 틈이 아예 없다시피 합니다. 자꾸 뭘(사건·사고) 벌이려 하고, 뭘 안 벌이면 재미없는 나날인 듯 여깁니다. 이러다 보니 얼굴만 보며 이쁜지 좋아하는지 같은 데에 얽매입니다. 나무를 나무로 못 봅니다. 얼음새(펭귄)를 겉모습만으로 놀리고 비아냥거리는 말장난에 갇힙니다. 개구리 같은 이웃숨결 한살림을 아주 모를 뿐 아니라, 알려 하지 않아요. 이미 아이어른 스스로 학교·직장에서 괴롭거든요. 괴로워 죽겠는 굴레를 그냥 나오면 되는데, 아무래도 “귀찮아서 죽겠다(18쪽)”는 마음 탓에 겉만 훑고 끝나는구나 싶어요.
ㅍㄹㄴ
애들이 자꾸만 간지럼 태운다. / 갑자기 인기 짱이다. / 귀찮아서 죽겠다. / 입 다물고 도망만 다닌다. / 콧물 들이마시랴 숨 쉬랴 / 콧구멍만 바쁘다. (바쁜 내 콧구멍/18쪽)
교실 청소할 땐 / 플라타너스 이파리도 / 예쁘게 보였는데, // 운동장 청소 당번 되니 / 단풍나무 이파리도 / 얄밉게 보인다. (운동장 청소/23쪽)
똥이 자꾸 마려워 / 되똥되똥 // 목부터 꽁지까지 / 하얀 기저귀 // 끌러지지도 않아 / 어기작어기작 (펭귄/55쪽)
손발톱 / 안 깎아도 / 혼나지 않으니까. // 겨울방학 / 내내 잠만 자도 / 칭찬 받으니까. // 사내 녀석이 / 툭하면 운다고 / 꾸중 듣지 않으니까. (개구리는 좋겠다/58쪽)
+
《콧구멍만 바쁘다》(이정록, 창비, 2009)
큰아버지 댁이 외국으로 이사 갔습니다
→ 큰아버지네가 먼나라로 갔습니다
→ 큰아버지는 이웃나라로 갔습니다
40쪽
멀미 걱정이 태산입니다
→ 멀미를 크게 걱정합니다
→ 멀미를 몹시 걱정합니다
40쪽
꼬추를 조준해서 아빠의 오줌 폭포를 맞혔다
→ 꼬추를 겨냥해서 아빠 오줌발을 맞힌다
→ 꼬추를 잡고서 아빠 오줌줄기를 맞힌다
46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