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5.10.2. 누가 돕는가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누가 돕느냐고 묻는다면 늘 스스로 하고 스스로 쉬고 스스로 빛나는구나 싶습니다. 틀림없이 곁님과 아이들이 돕습니다만, 일손을 돕는 세 사람은 언제나 세 사람대로 스스로 살리는 길입니다. 여러 달 살핀 끝에 마침내 외마디 한자말 ‘색·색깔’을 다듬는 글을 다시 가다듬습니다. 모두 95가지 보기글을 모았는데, 앞으로 더 다른 보기글을 모으면 더 가다듬을 길을 찾을 만합니다.


  ‘나의’나 ‘그녀’나 ‘-에 대해’나 ‘만들다’나 ‘존재’나 ‘것’ 같은 말씨도 꾸준하게 보기글을 모읍니다. ‘것’은 보기글만 3455꼭지를 모았습니다. 다른 얄궂은 말씨를 놓고도 끝없이 보기글을 모으는데, 모든 말글은 어느 자리에 똑같이 짜맞출 수 없거든요. 다시 새기고 또 살피고 거듭 들여다보노라면, 숱한 갈래로 가다듬는 길을 열 만합니다.


  첫가을에는 비가 뜸하더니, 늦여름에도 비는 그리 안 잦더니, 한가을로 들어설 무렵에는 비가 잦습니다. 쌀값이 껑충 뛴다느니, 쌀이 남거나 모자란다느니, 이제 비가 와야 한다느니, 비가 꽤 왔으니 그만 와도 된다느니, 우리 스스로 오락가락 춤추고 널뛰는 마음이라서, 가을비도 그만 덩실덩실 춤판이지 싶습니다. 둑을 세우거나 못을 넓힌들 비가 온 오면 부질없습니다. 언제나 이 빗물을 빗물로 누릴 때라야 이 나라가 살아납니다.


  시골 논둑에 잿더미(시멘트)를 누가 덮어씌웠는지 짚어야 합니다. 이쪽(이쪽 정당)도 저쪽(저쪽 정당)도 똑같습니다. 둘 다 돈에 눈멀면서 시골을 망가뜨리고, 서울(도시)도 나란히 무너뜨립니다. 왜 순이돌이가 피터지게 싸워야 할까요? 시골과 서울이 망가지면서 순이돌이가 싸워야 “두 큰무리”는 느긋하게 돈잔치를 벌여요. 우리 스스로 어깨동무를 되찾고서 우리 보금자리가 시골이건 서울이건 사랑으로 돌보는 길을 열 때에 모든 “돈잔치 큰무리”를 걷어낼 수 있습니다.


  누가 우리를 돕지 않습니다. 독일 옛말 그대로, 하늘은 우리 스스로 살리고 북돋우려고 할 적에 가만히 한 손을 거들어서 바람을 일으키고 비를 내리고 별을 베풀고 해를 비출 뿐입니다. 씨앗은 바로 우리 손으로 심을 노릇입니다.


ㅍㄹㄴ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