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나자와 셔터 걸
키리키 켄이치 지음, 우서윤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9년 12월
평점 :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5.10.2.
사진책시렁 180
《카나자와 셔터 걸》
키리키 켄이치
우서윤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19.12.15.
멀리 찾아가서 찍어야 훌륭하거나 대단하지 않습니다. ‘나’는 ‘그곳’이 멀 테지만, ‘그곳’에서 사는 사람은 ‘집’이고 ‘마을’입니다. 숱한 사람은 ‘먼길(출사)’을 가야 제대로 멋있게 찍어서 빛난다(예술)고 여기는데, 참말로 빛나게 담는 ‘빛꽃’을 이루자면 “오늘 내가 살아가는 집과 마을과 이웃”을 찰칵찰칵 담을 노릇입니다. 《카나자와 셔터 걸》은 일본에서 카나자와라는 어느 고을에서 나고자란 아이가 그저 ‘카나자와 한켠과 골목과 마을’을 찰칵찰칵 담으면서 ‘빛길’을 걷고 싶은 꿈을 조촐히 키우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이러면서 ‘멋’을 찾고 담는 여러 또래를 보여주고, ‘그리운 엄마’를 찾아서 독일에서 일본으로 건너온 젊은이를 보여줍니다. 누구나 스스로 좋아하는 대로 찍을 수 있되, 좋아하는 대로 찍으면 좁다른 틀에 갇힙니다. 저마다 바라보는 대로 찍을 만하되, 바라보기만 하면 다가서지 못 하고 스미지 않습니다. 손에 쥔 조그마한 쇠로 담을 모습이란 언제나 ‘나·너·우리·집·마을·둘레’부터입니다. 내가 나부터 담는 눈일 적에 둘레를 알아채요. 내가 나를 담고 너를 마주할 적에 우리가 있는 집과 마을을 알아봅니다. 이윽고 “빛이란 무엇인가?”를 스스로 묻고 풀어요. 멀리 가면 겉멋입니다.
ㅍㄹㄴ
‘오래된 민가를 개축한 정취 있는 고서점 〈오요요쇼린〉. 요 며칠 시간이 나면 들르고 있다. 그곳엔 지금까지 몰랐던 일본 사진가의 사진집이 많이 있다.’ (48쪽)
“밤하늘이 예뻐. 분명 아빠는 이 사진을 찍고 싶었던 걸 거야.” (78쪽)
“사진은 잔혹해. 마음과는 다르게, 엄마의 생기 넘치고 아름다운 모습을 비추잖아.” (104쪽)
“전 그저 아무 생각 없이 카나자와 거리 스냅사진을 찍고 있을 뿐이라는 사실을 실감한 것 같은 기분이 들어요. 표현하고 싶은 것도 찾지 못하고 그저 의미 없이 셔터를 누르는 그게 진짜 사진일까요?” (124쪽)
“별 뜻 없이 찍은 사진이 어떤 사람에게는 일생을 좌우하는 커다란 계기가 되는 힘을 갖고 있어. 그 사진을 본 이후로 우연이 아니라 사진가가 될 수 있게 노력해서 사진가가 된 거야.” (129쪽)
‘힘든 순간, 도망치고 싶어지는 순간, 지루한 순간, 벽에 부딪치는 순간, 틀림없이 네 곁에는 카메라가 있을 거야. 어떤 일이 일어나도 분명 괜찮을 거야. 셔터를 누르고 사진을 찍자.’ (167쪽)
#桐木憲一 #金澤シャッタ-ガ-ル
+
《카나자와 셔터 걸》(키리키 켄이치/우서윤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19)
이번 달부터 은어 낚시가 해금됐거든
→ 이달부터 은고기 낚시가 풀렸거든
23쪽
“루어낚시로 은어를 낚는걸세.” “오오, 드라이피싱이네요.”
→ “제물낚시로 은고기를 낚네.” “오오, 미끼낚시네요.”
→ “허방낚시로 은고기를 낚네.” “오오, 미끼낚시네요.”
23
오래된 민가를 개축한 정취 있는 고서점
→ 오래집을 고쳐서 고즈넉한 옛책집
→ 오랜 살림집을 바꾼 그윽한 헌책집
48쪽
평범한 저는 장래에 사진의 길을 선택하는 건 무리일지도 몰라요
→ 저는 수수해서 앞으로 빛길을 고르기는 어려울지도 몰라요
→ 저는 그저 그래서 나중에 빛꽃길을 가기는 힘들지도 몰라요
124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