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9.5.


《오늘은 노란 웃음을 짜 주세요》

 임수현 글·윤정미 그림, 문학동네, 2023.1.31.



새로 들인 싱싱칸은 천천히 자리를 잡는다. 한가위를 앞두고서 이바지일삯(근로장려금)을 받았기에 이 목돈으로 들였다. 언제나 느긋이 즐겁게 바라보면서 받아들이는 살림길을 헤아리자고 생각한다. 밥과 국을 하고서 두바퀴를 달린다. 바야흐로 겨울바람으로 넘어가려고 한다. 맞바람이 꽤 세지만 아직 후끈볕이라서 외려 땀을 식힌다. 들녘 빈집은 참새집으로 바뀐 듯싶다. 이곳은 풀죽임물을 견딜 만한 쉼터요, 작은새가 겨울나기를 할 만한 보금터 같다. 《오늘은 노란 웃음을 짜 주세요》를 읽으며 요즈음 ‘동시문학’은 1960∼80년대 ‘윤석중 동심천사주의’로 돌아간 쳇바퀴라고 느낀다. 이승만·박정희·전두환·노태우 곁에 붙어서 ‘해바라기(권력찬양)’으로 긴긴 나날을 ‘어린이문학 죽이기’에 앞장선 ‘윤석중 동심천사주의’인데, 뜻밖에 2003년에 드디어(?) 숨을 거둔 뒤부터 슬금슬금 ‘창비·문학동네’를 발판삼아서 다시 번진다.


‘어린천사’를 가여워하거나 추켜세우는 글은 쏟아내더라도 막상 아이곁에 있지 않기에 ‘동심천사주의’이다. ‘입시·학원지옥’을 걱정하는 듯하지만 정작 ‘대학교·서울바라기’를 안 멈추는 글판(문단)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나 출판산업진흥원이 전라도 시골로 옮겼되, 글바치 가운데 시골로 터전을 옮긴 이는 손에 꼽을 만하고, 시골로 옮겼어도 두메나 마을이 아닌 읍내에 머물고, “시골로 터전을 옮긴 글바치”는 하나같이 ‘청탁’이 안 온다며 고단하다고 말씀한다. 이제라도 우리 글꽃은 어린이글도 어른글도 ‘살림글’과 ‘숲글’로 거듭날 노릇이라고 본다. 서울에 그냥 눌러살더라도 살림짓기와 숲빛을 품으려 할 적에 비로소 ‘글씨(글씨앗)’를 남길 만하다고 본다. 애쓰지 말고, 어디에서나 언제나 들숲메바다를 온몸과 온마음으로 품으면 된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