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9.12.
《우리의 여름은 거기에 있어》
정세진 글, 개미북스, 2023.7.31.
어제는 작은아이랑 저잣마실을 다녀왔다. 오늘은 큰아이하고 순천을 다녀올까 하다가 다음으로 미룬다. 이제 큰아이한테 이름쪽(주민등록증)이 나온다고 한다. 그런데 열손그림(십지문十指紋)을 뜬다고 하네. 왜 아직도 이 짓을 하나? 멀쩡한 아이들 손그림을 나라가 왜 뜨는가? 말썽이나 잘못을 일으킨 사람은 떠야 하지 않나? ‘십지문’이라는 일본말을 그대로 쓰는 얼뜬 모습도 얄궂다. 《우리의 여름은 거기에 있어》를 천천히 읽는다. 거의 서울에서 살지만, 아이들하고 곧잘 제주살이를 한다는, 여름살이는 제주에서 누린다고 하는 나날을 그러모은 꾸러미이다. 얼핏 보면, “돈 좀 있으니까” 여름에 제주살이를 한다고 여길 테지. 곰곰이 보면, “땀흘려서 번 돈으로 아이들하고 기쁘게 철빛을 누리려는 마음”이기에 서울에서 한동안 벗어난다고 여길 테고. 돈 좀 있기에 책을 사읽지 않는다. 돈이 없어도 “없는 돈 박박 긁고 털어서 책을 사읽”는 사람이 꽤 있다. 돈이 아니라 삶을 바라보기 때문에 기꺼이 시골살이를 하고, 신나게 책을 사읽고, 기쁘게 아이를 낳아서 온사랑으로 품고 돌본다. 모든 사랑은 모든 사람 마음에 흐른다. 짝을 맺거나 안 맺거나, 아이를 낳거나 안 낳거나, 스스로 사랑이라면 누구나 들숲바다부터 품는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