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2049 : 남편 생애 첫 월급 빵꾸에 대해 이야기 나누
남편과 생애 첫 월급 빵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 처음 겪는 달삯 구멍을 곁님과 이야기하며
→ 처음 달삯이 구멍나서 짝꿍과 이야기하며
《날마다, 출판》(박지혜, 싱긋, 2021) 45쪽
“생애 + 첫 + 월급 빵꾸 + -에 대해”인 얼거리인데, “처음 + 겪는 + 달삯 구멍 + -을”이나 “처음(처음으로) + 달삯이 + 구멍나서”로 손볼 만합니다. ‘이야기’는 “나누는 말”을 가리키기에 “이야기를 나누며”는 겹말이에요. “이야기하며”나 “말을 나누며”로 손봅니다. 짝꿍을 가리키는 이름은 ‘짝꿍·짝지’라 하면 되고, ‘곁님’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남편(男便) : 혼인하여 여자의 짝이 된 남자 ≒ 부서·장부
생애(生涯) : 1. 살아 있는 한평생의 기간 2. 살림을 살아 나갈 방도. 또는 현재 살림을 살아가고 있는 형편 = 생계
월급(月給) : 한 달을 단위로 하여 지급하는 급료. 또는 그런 방식 ≒ 삭료·월료·월봉
빵꾸(일 panku) : → 펑크
펑크(←puncture) : 1. 고무 튜브 따위에 구멍이 나서 터지는 일. 또는 그 구멍 2. 의복이나 양말 따위가 해져서 구멍이 뚫리는 일. 또는 그 구멍 3. 일이 중도에 틀어지거나 잘못되는 일 4. 낙제에 해당하는 학점을 받음을 이르는 말
대하다(對-) : 1. 마주 향하여 있다 2. 어떤 태도로 상대하다 3. 대상이나 상대로 삼다 4. 작품 따위를 직접 읽거나 감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