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피버쓰데이 ㅣ 백희나 그림책
백희나 지음 / Storybowl(스토리보울) / 2024년 12월
평점 :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9.8.
그림책시렁 1627
《해피버쓰데이》
백희나
Storybowl
2024.12.1
남이 베풀어 주어야 짐을 풀 수 있을까요? 남한테 기대려고 해야 응어리를 걷어낼까요? 이웃·살붙이·동무·한집안이 얼마든지 도울 수 있습니다만, ‘서울’이 아닌 ‘시골’과 ‘들숲메바다’에서 살아가는 누구나 풀꽃나무와 해바람비와 뭇숨결이 모두 이바지하고 돕는 손끝을 누립니다. 서울 한복판이라 하더라도 잿더미(아파트)에서 뛰쳐나온다면 골목꽃과 길나무와 구름과 빗방울과 해와 별이 반깁니다.
《해피버쓰데이》를 들여다봅니다. 굳이 왜 영어를 그림책에 써야 하는지부터 아리송합니다. 어른끼리만 읽더라도 우리말을 쓸 노릇일 텐데요. 더구나 이 그림책에 ‘말시늉’으로 나오는 아이는 ‘그냥사람’입니다. 사람을 그리면 될 텐데, ‘보는꽃(캐릭터)’을 애써 만들어야 한다고 여기면서 그만 ‘들말이 사는 길’도 ‘사람이 사랑하는 하루’도 아닌, 어정쩡한 ‘서울살이’에 갇히는 얼거리입니다. 이제 시골에는 거의 안 살고 죄다 서울에 빽빽하게 모이는 굴레살이라 할 만하니, 그림책도 얼마든지 서울을 다룰 만합니다. 그런데 느긋이 넉넉히 틈을 두면서 보금자리를 이루고서, 마당과 밭과 들숲메바다를 품은 지난날을 우리 스스로 팽개치면서 “난 왜 살지? 난 어떡하지? 집밖에 나가면 무서운데?” 하는 마음에 사로잡힌다고 여길 만합니다. 부디 아이(서울아이·시골아이 모두)를 “도와줘야 하는 아픈 아이”로 여기지 않기를 빕니다. ‘난날(생일)’이란 ‘나온날 + 낳은날’이면서 ‘태어난날 + 깨어난날’입니다. 밤에 잠들고서 아침에 눈뜰 적에 “잠을 깬다”고 하고, ‘깨어난다’고 말해요. 우리는 날마다 새로 ‘태어나’는 삶입니다. 모든 하루가 ‘난날’이면서 ‘빛날’인 줄 안다면, 커다란 옷칸에서 날마다 바뀌는 옷차림으로 겉모습을 꾸미기만 해본들, 오히려 더 굴레에 갇히고 가두면서 마음에 꽃을 못 피웁니다. 그저 흉내나 시늉이나 척일 테니까요. ‘이쁜옷’이 아니라 ‘내가 나로 일어서는 즐거운 마음’을 바라보는 줄거리를 짜서 펼칠 적에 그림책이요 글책이며 어린이책이고 어른문학입니다. ‘겉치레 보임꽃(외양을 치장하는 캐릭터)’는 이제 다 떨쳐내고 내려놓기를 빕니다.
ㅍㄹㄴ
+
《해피버쓰데이》(백희나, Storybowl, 2024)
자꾸만 마음이 무거워져서 집에만 머물렀습니다
→ 자꾸 마음이 무거워 집에만 머뭅니다
→ 마음이 무겁기만 해 집에만 있습니다
→ 마음이 늘 무거워 집에만 있습니다
2
어제 곧 너의 생일이잖니
→ 이제 곧 네 잔칫날이잖니
→ 이제 네가 태어난 날이야
4
조심조심 포장을 풀었습니다
→ 살몃살몃 종이를 풉니다
→ 살살 껍데기를 풉니다
8
포장 안에는 커다란 옷장이 있었습니다
→ 꾸러미에 커다란 옷칸이 있습니다
8
하루빨리 나아졌으면 좋겠구나
→ 하루빨리 낫기를 바라
11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