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5.9.4. 발상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엊저녁과 아침에 한자말 ‘발상’을 놓고서 한참 씨름합니다. 온몸에 땀이 삐질삐질 흐르고, 한참 땀을 뺀 끝에 드디어 낮에 매듭을 지었으나, 이윽고 책숲말(도서관 용어)을 추스르며 한참 보냈습니다. 이러고서 ‘전부’라는 한자말을 열흘째 붙들고서 드디어 새롭게 손질을 마칩니다.
우리말 ‘닥치다’를 다시 돌아본 이레요, ‘빅’이라는 영어를 굳이 손질말꾸러미(순화어사전)에 올리느냐 마느냐를 놓고 한참 실랑이를 하다가 올리기로 합니다. 일본말씨라고 할 ‘2차 가해’를 더 짚으면서 ‘뒷짓·뒷화살’ 같은 낱말로 손질할 만하다고 느낍니다. 뒤에서 함부로 저지레를 일삼거나 화살을 쏘는 몸짓이기도 하거든요.
마감하는 낱말이 있다면, 마감을 기다리는 낱말이 수두룩합니다. 언제나 즈믄 남짓한 낱말이 마감을 기다리는데, 이제는 ‘노력·인식·강제·연결·전국·관련·혁명·목록·존중’쯤은 마감을 할까 싶다가도 다른 일손에 마음을 씁니다. 무엇보다도 집안일을 하는 하루를 누립니다.
집안일을 하고, 가을풀벌레가 베푸는 노래를 듣고, 아직 밤빛을 밝히는 소쩍새가 얼마나 그윽한지 귀를 기울입니다. 이러다가 다시 씻고 빨래하고 또 씻습니다. 두바퀴를 달려서 나래터(우체국)를 다녀오고, 아이들 뒷밥으로 과일을 장만해서 실어나릅니다. 둥그런 달이 꽤 밝으니 곧 한가위가 맞구나 싶습니다. 가을달이 밝더라도 별은 밝습니다. 이제 등허리를 펼 때입니다.
ㅍㄹㄴ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