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역 驛
역 광장 → 나루마당
역 대합실 → 나루맞이칸
역에서 친구들과 만나 → 나루에서 동무하고 만나
‘역(驛)’은 “1. 열차가 발착하는 곳 ≒ 철도역 2. [역사] 중앙 관아의 공문을 지방 관아에 전달하며 외국 사신의 왕래, 벼슬아치의 여행과 부임 때 마필(馬匹)을 공급하던 곳. 주요 도로에 대개 30리마다 두었다 ≒ 우역”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일본말씨이면서 중국말씨일 텐데, 이제는 우리말씨로 가다듬을 만합니다. ‘길목·길머리·길마루·길나루·길넘이’나 ‘나루·나루터’로 풀어내 봅니다. ‘노둣길·노둣돌·노두’나 ‘섟·칸·목·터’로 풀어낼 수 있어요. ‘기차나루·칙폭나루’나 ‘징검다리·징검돌·징검길’로 풀어도 어울려요. ㅍㄹㄴ
오늘 우리는 예외적으로 역을 거쳐 돌아갑니다
→ 오늘 우리는 드물게 나루를 거쳐 돌아갑니다
→ 오늘은 여느때와 달리 나루를 거쳐 돌아갑니다
→ 오늘은 여느날과 달리 나루를 거쳐 돌아갑니다
《팔아버린 웃음》(제임스 크뢰스/차경아 옮김, 범조사, 1980) 78쪽
우리 집 식탁은 기차역
→ 우리집 밥자리는 나루
《딱 걸렸어》(박해경, 청개구리, 2017) 16쪽
설경 속의 기차역이 떠오른다
→ 눈밭 칙폭나루가 떠오른다
→ 눈덮인 칙폭나루가 떠오른다
《진짜 멋진 할머니가 되어버렸지 뭐야》(김원희, 달, 2020) 47쪽
다음 역을 향해 달립니다
→ 다음 나루로 달립니다
→ 다음 길목으로 달립니다
《당신이라는 문을 열었을 때처럼》(최상해, 문학의전당, 2021) 5쪽
퇴근하는 길에 환승역에서 일단 밖으로 나와
→ 돌아오는 길에 이음터에서 밖으로 나와
→ 들어오는 길에 이음목에서 밖으로 나와
《어서오세요, 책 읽는 가게입니다》(아쿠쓰 다카시/김단비 옮김, 앨리스, 2021) 15쪽
많은 사람이 보는 앞에서 9월 모일 젊은 의원이 역에서 갑자기
→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9월 어느 날 젊은 나리가 나루서 갑자기
《마오 17》(타카하시 루미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 17쪽
여기가 정말로 종착역인 거다
→ 여기가 참말로 끝나루이다
→ 여기가 드디어 끝이다
《내 손으로, 시베리아 횡단열차》(이다, 미술문화, 2024) 25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