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것들, 그릇 내가 좋아하는 것들 17
길정현 지음 / 스토리닷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5.8.24.

인문책시렁 446


《내가 좋아하는 것들, 그릇》

 길정현

 스토리닷

 2025.5.7.



  책벌레는 “오늘 읽든 나중 읽든 눈에 띄면 책을 산다”는 마음입니다. 오늘이 지나가고 나면 “눈앞에 있던 책”을 쉬 잊을 뿐 아니라, 다시 못 찾기 일쑤요, 요사이는 일찍 판끊기는 책이 수두룩합니다.


  책벌레로 살다 보니 ‘참하게 생긴 그릇’을 만나면 ‘언제 쓸는’ 지 몰라도 주섬주섬 장만하는 버릇이 붙었습니다. 이러다가 꾸지람을 듣고 꾸중을 먹었어요. 이제는 그릇을 새로 장만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쩌다가 깨지거나 이가 나가더라도 ‘여태 이미 쟁인 그릇’을 꺼내서 쓰면 넉넉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그릇》을 읽습니다. 제가 책벌레라면, 이 책을 쓴 분은 ‘그릇벌레’일 테지요. 갖은 그릇을 눈여겨보고, 온갖 그릇을 챙기면서, 이 그릇에 담을 밥살림을 헤아리는 삶이라고 할 만합니다.


  2008년과 2011년에 아이를 낳으면서 온집안을 박박 뒤집어서 플라스틱 그릇을 치웠습니다. 알게 모르게 플라스틱 그릇이 많았습니다. 둘레에서 물려주거나 건네주면 그저 차곡차곡 쌓았습니다. 모임자리에서 한벌쓰기로 버리는 그릇도 건사해서 되쓰자고 여겼습니다.


  그렇지만 플라스틱 그릇을 모조리 치운 자리에, 두 아이하고 누릴 살림그릇만 건사하다 보니, 아이를 이끌고서 어느 모임자리에 가든 ‘집에서 그릇과 수저’를 바리바리 챙깁니다. 두 아이랑 곁님이 쓸 밥살림을 등짐과 손짐으로 수북히 챙겨서 다니면 “뭘 그리 무겁게 싸들고 다니나? 그냥 한벌쓰기(1회용품)로 하면 될걸!” 하면서 혀를 차는 분이 수두룩합니다.


  다 다른 사람이 다 다른 책을 품고서 읽듯, 다 다른 사람은 다 다른 그릇을 품고 돌보고 건사합니다. “아이 밥그릇까지 들고 다니는 사람이 어디 있어?” 하고 묻는 분한테, “네, 바로 코앞에 있네요.” 하고 대꾸하며 웃습니다. 제 어릴적을 돌아보면, 어디 나들이를 가는 날에는 ‘솥’까지 들고 다녔습니다. 예전에는 참말로 누구나 솥에 그릇을 모조리 집에서 챙겨서 다녔고, 알뜰히 추슬러서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그저 손쉽게 쓰고 버리려 하면서, 아니 땀흘려 이고 지고 나르기를 귀찮게 여기면서, 손살림을 등지고 이쁘장하게 꾸미는 옷차림에 기울면서, 물그릇 하나조차 안 챙기기 일쑤였으나, 이제는 물그릇쯤은 챙기는 사람이 다시 늘어납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그릇》에도 나오는 말처럼, 자잘하다 싶은 살림거리를 손수 챙기고 살피고 돌보는 길이야말로 “내가 나를 살리면서, 내가 나부터 바라보는 사랑”이라고 느낍니다.


ㅍㄹㄴ


사람을 사람답게 살 수 있게 하는 것은 아주 소소한 것들임을 배우고 있는 요즘, 나는 내가 그럭저럭 괜찮게 살고 있음을 실감한다. (25쪽)


우리 엄마도 연마제가 뭔지 아예 모르는 눈치인 걸로 봐서 평생토록 우리 가족 모두가 연마제를 먹어온 듯한데, 모르면 몰랐지, 알게 된 이상 사활을 걸고 깨끗하게 닦을 수밖에 없다. (47쪽)


애당초 내 마음 자체가 미니멀하지 못하다. (75쪽)


그때의 나는 그랬다. 그때 나는 온힘을 다해, 온마음을 다해 싫어하는 사람이 있었다. 누군가를 진심으로 좋아하는 일만큼이나 싫어하는 일에도 엄청난 에너지를 써야 하는데, 나의 그런 에너지 소모에도 불구하고 상황은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 (101쪽)


유리 젖병의 특징은 명확하다. 오래 사용해도 착색이나 냄새 배임이 없고 소재 특유의 냄새도 없다. (179쪽)


+


《내가 좋아하는 것들, 그릇》(길정현, 스토리닷, 2025)


그릇에 대한 애정과 관심은 줄곧 있었지만, 그 집중도가 정점을 찍었던 건 역시

→ 그릇을 사랑하고 줄곧 바라보지만 가장 사랑하고 바라보던 때는 바로

→ 그릇을 아끼고 줄곧 들여다보지만 가장 아끼고 들여다본 때는 아무래도

23쪽


그릇계에는 킨츠기(金繼ぎ)라는 공예 기법이 있다

→ 그릇밭에는 노란땜이 있다

→ 그릇길에는 이음꽃이 있다

24쪽


우리 집 주방에도 강렬한 색감의 무언가가 생겼군

→ 우리 부엌에도 눈부신 그릇이 생겼군

→ 우리집 부엌도 알록달록 빛나는군

53쪽


사실 스님들이 발우공양 하듯 식사를 마친 후 그 밥그릇에

→ 스님이 그릇모심 하듯 밥을 먹고서 이 밥그릇에

→ 스님이 모심길을 하듯 밥을 먹고서 이 밥그릇에

63쪽


정해진 용도대로만 사용한다면 에그 스탠드는 참 쓸 일이 드문 물건이다

→ 쓰임새대로만 본다면 달걀받침은 참 쓸 일이 드물다

→ 쓸모대로만 치면 달걀놓개는 참 쓸 일이 드물다

63쪽


이 문구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내용은 184쪽에서 자세히 논해 보기로 하자

→ 이 글월은 184쪽에서 좀더 낱낱이 짚기로 하자

→ 이 글은 184쪽에서 좀더 꼼꼼히 다루기로 하자

69쪽


이번에 해외 배송으로 전달받은 그릇 상자의 포장 상태가 심상치 않았다

→ 이참에 바깥받이로 온 그릇 꾸러미를 싼 모습이 유난했다

→ 요즈막 이웃받이로 온 그릇 꾸러미를 담은 모습이 남달랐다

79쪽


걷고 있는 음유시인의 모습이 몹시도 깜찍하게 표현된 것이 대표 이미지다

→ 나그네꽃이 걷는 모습을 몹시도 깜찍하게 담아 손꼽히는 그림이다

→ 떠돌별이 걷는 모습을 몹시도 깜찍하게 나타내 돋보이는 그림이다

79쪽


대부분 접시는 원래 원형이다

→ 그릇은 거의 동그랗다

→ 그릇은 워낙 둥그렇다

86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