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8.9.
《선생님, 홍범도 장군이 누구예요?》
김삼웅 글·홍윤표 그림, 철수와영희, 2025.7.17.
간밤부터 비가 내린다. 밤새 즐겁게 빗소리를 듣는다. 아침에 배웅을 받으면서 부산으로 건너간다. 시외버스에서도 빗소리를 누리면서 몸을 쉬다가 노래를 여러 자락 쓴다. 빗길을 슈룹 없이 걷는다. 보수동 〈남해서점〉에 들르는데, 일문과 교수를 지낸 분이 젊은날 읽은 값진 일본책이 몇 더미 들어왔다고 한다. 마침 엊그제 잔뜩 들어왔다고 해서 얼른 살핀다. 저녁에 〈카프카의 밤〉에서 ‘숨은사람찾기’ 모임을 꾸려야 해서 아쉽게 일어선다. 오늘 ‘숨은사람’으로 ‘주시경’ 이야기를 편다. 우리는 ‘한힌샘’이라는 이름을 스스로 붙인 그분이 ‘한글’이라는 이름을 짓고서 ‘우리말틀(국어문법)’을 비로소 가다듬고 세운 보람으로 오늘날 누구나 ‘우리말·우리글’을 누린다만, 막상 다들 주시경을 잊고 한글날이 왜 한글날인지마저 까맣게 모른다. 왜 조선총독부는 한힌샘 님을 1914년에 갑자기 죽였을는지 생각할 일이다. 《선생님, 홍범도 장군이 누구예요?》를 읽었다. “빼앗긴 나라”를 살리려고 온힘을 다한 분들은 ‘나라(정부)’만 바라보지 않았다. 이분들은 늘 ‘나·너·우리’라는 길을 바라보았다. 이분들은 왼길이나 오른길이 아닌 ‘온길’을 보려 했다. 한쪽에 붙으면 배불렀겠지. ‘온길’로 살아가며 ‘오늘’을 바라보려 했기에 “나를 살려야 나라가 사는” 줄 알았을 테지.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풀꽃나무 들숲노래 동시 따라쓰기》,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