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비단 緋緞
비단 저고리 → 깁 저고리
비단 한 동 → 누에천 한 동
그녀의 말씨가 비단같이 부드럽다 → 그이 말씨가 부드럽다
비단 한 필씩을 공양하였다 → 깁 한 자락씩 바쳤다
비단을 실은 큰 배들이 → 누에천을 실은 큰배가
입던 옷은 귀한 비단이었다 → 입던 옷은 값진 깁이다
‘비단(緋緞)’은 “명주실로 짠 광택이 나는 피륙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견포(絹布)·단(緞)”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깁’이나 ‘누에천’이나 ‘부드럽다·반드럽다·곱다’로 손질합니다. ㅍㄹㄴ
비단으로 만들어져 반드르르 빛이 나고
→ 누에실로 짜서 반드르르하고
《모자》(토미 웅게러/진정미 옮김, 시공주니어, 2002) 1쪽
연둣빛 땡땡이 무늬가 어른거리더니 서너 달 지나며 창은 짙푸른 비단으로 출렁거렸다
→ 옅푸른 얼룩무늬가 어른거리더니 서너 달 지나며 미닫이는 짙푸른 깁으로 출렁거린다
《열애》(신달자, 민음사, 2007) 53쪽
커튼 새로 스미는 햇살 비단에 감싸인 누드 / 알몸이 보일 때까지 바라보는 게 좋았죠
→ 가리개 새로 스미는 햇살 깁에 감싸인 맨몸 / 알몸이 보일 때까지 바라보면 좋았죠
→ 가림천 새로 스미는 햇살 누에천에 감싸인 알몸 / 알몸이 보일 때까지 바라보면 좋죠
《반지하 앨리스》(신현림, 민음사, 2017) 72쪽
고귀한 분의 처형은 경의를 담아서 비단 천으로 교살하는 것이 관례
→ 높은 분은 깍듯이 누에천으로 목졸라서 다스려 왔다
→ 거룩한 분은 받들며 깁으로 졸라매어 죽여 왔다
《꿈의 물방울, 황금의 새장 20》(시노하라 치에/이지혜 옮김, 학산문화사, 2025) 6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