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7.23.
《資本主義와 現代社會理論》
안토니 기딘스 글/임영일·박노영 옮김, 한길사, 1981.2.10.
어제 고흥으로 돌아와서 귀를 쉬고, 온몸을 가다듬는다. 바깥일을 볼 적에는 길을 거닐 때를 빼고는 찬바람이(에어컨) 범벅에다가, 엄청나게 소리벼락이다. 그런데 서울이웃은 ‘서울이 얼마나 시끄러운지’ 잘 모르는 듯하다. 벌써 한여름이 가까운데 매미소리를 듣기 어려운 대목도 못 느끼는 듯하다. 오늘은 낮에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다시금 시골버스 찬바람이를 쐰다. 저녁부터 으슬으슬하다. 아이구, 찬앓이로구나. 오늘까지 호젓이 쉬고서 이튿날 저잣마실을 갈 노릇인데 서둘렀구나. 《資本主義와 現代社會理論》을 모처럼 되읽었다. 1971년에 나왔으나 ‘묵은책’이라 여길 수 있을 테지만, 그냥그냥 읽히는 듯싶다. 2008년에 새옷을 입고서 값이 3만 원으로 뛰었는데, 옮김말씨는 그닥 안 바뀐 듯하다. 우리는 어느 갈래(학문)에서도 아직 우리말씨로 우리삶길을 가꾸거나 여는 손길이 안 일어난다. 앞으로는 다를까? 이제부터 하나씩 가꾸려나? 기든스를 아직 읽어도 안 나쁘되, 우리 손과 눈과 마음으로 우리 터전을 일구는 숨빛을 더 깊고 넓게 익히려는 뜻이 있다면, ‘송건호’라고 하는 분이 남긴 글자락을 헌책집에서 찾아내어 읽을 만하지 싶다. 1970∼80년대에 나온 송건호 님 글자락은 2025년에 되읽어도 반짝반짝하더라.
#앤서니기든스 #Anthony Giddens
#Capitalism&ModernSocailTheory #AnAnalysisoftheWritingsofMarxDurkheimandMaxWeber (1971년)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