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7.6.
《세시에서 다섯시 사이》
도종환 글, 창비, 2011.7.18.
아침부터 싱싱칸을 옮긴다. 싱싱칸을 놓은 둘레에 낀 먼지를 쓸고닦는다. 싱싱바람을 내는 곳을 뜯으니 먼지가 수북하다. 이 먼지를 하나하나 털고 훔친다. 두 시간 남짓 두 아이하고 싱싱칸 겉속을 샅샅이 닦는다. 이러고서 씻고 빨래를 한다. 밥을 지어서 차린다. 등허리를 펴려고 드러눕는다. 늦은낮에 싱싱칸을 보니 어쩐지 살아난 듯싶다. 저녁을 지날 무렵에는 예전처럼 잘 돌아간다고 느낀다. 셈틀도 틈틈이 먼지털이를 해야 하듯 싱싱칸도 매한가지일 텐데, 2012년부터 여태껏 속을 뜯어서 먼지털이를 하자는 마음을 못 품었구나. 《세시에서 다섯시 사이》를 모처럼 되읽었다. ‘노래지기’가 아닌 ‘벼슬아치’로 자리를 바꾼 글쓴이 발자국은 여러모로 안쓰럽다. 벼슬을 쥐고 감투를 얻으려면 줄서기를 잘해야 한다지만, 중국을 우러르는 모습도 못마땅하다. 그렇다면 글만 잘 쓰면 되는가? 벼슬과 감투를 나란히 쥐더라도 글붓을 안 놓으면 되는가? 벼슬을 쥐었으면 감투는 벗든지, 감투를 썼다면 벼슬을 놓든지, 벼슬이나 감투를 챙긴다면 글붓은 내려놓든지, 아니면 글붓을 잡고서 벼슬과 감투 모두 내치든지 할 노릇이다. 몽땅 움켜쥐려는 몸짓은 그저 안타깝다. 뭐 하나를 붙잡으면 다들 끝까지 사로잡히거나 홀리는구나 싶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