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7.1.
《Women War Photographers : From Lee Miller to Anja Niedringhaus》
Anne-marie Beckmann·Felicity Korn 엮음, Prestel Publishing, 2019.
첫여름이 한여름으로 바뀌는 길목이다. 아침에는 소나기에 낮에는 새파랗게 트인 하늘에 몽실구름이 가득하다. 숭실대 옆 〈라이브러리 두란노〉에서 ‘섬섬꽃’ 모임을 꾸린다. 오늘은 《달맞이산 너머로 날아간 고등어》에서 여러 대목을 따서 읽는다. 이러고서 ‘빌고 싶은’을 글감으로 삼아서 쪽글을 쓴다. ‘빌다·비비다·비손’이 맞물리고, ‘빚다·빚·빛·비다·빚다’가 얽힌다. 무엇을 빌리거나 빌 적에는 마음부터 비우고서 서로 빛으로 나아가는 길을 바라본다. 14:40 고흥버스를 탄다. 버스에 타고서 잠든다. 한참 달린 뒤에 깨어나서 하루글을 쓰고 책을 읽는다. 고흥읍에서는 택시를 부른다. 마을 어귀에 이르자 왼논에서 오른논으로 뜸부기가 한 마리 휘익 가른다. 풀벌레와 개구리가 노래로 반기고 별빛이 흐드러지는 집으로 돌아왔구나. 《Women War Photographers : From Lee Miller to Anja Niedringhaus》를 곱씹는다. 싸움터를 담아낸 ‘빛순이’ 여러 사람을 한눈에 살피도록 엮은 알뜰한 꾸러미이다. 한글판이 나오기 어려우리라 느끼는데, 어느 분이 이 알뜰한 빛책을 장만해서 읽고서 헌책집에 내놓아 주었을까. 싸움터로 나아가는 사람은 싸울아비도 빛순이·빛돌이도 목숨을 건다. 싸우지 않기를 바라더라도, 나라(정부)가 등을 떠민다. 사랑을 잊은 우두머리가 싸움판을 펴고, 사랑을 잃은 몸으로 이웃을 놈으로 삼아서 죽이거나 죽어야 하는 불굿인데, 이 불굿에서도 아이가 태어나고, 아이를 돌보려는 어머니가 있다. 총이 없는 곳에서는 싸움질이 없을까?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