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민간인통제구역·민통선



 민간인통제구역인데 → 아무나 못 가는데 / 여느사람은 막아서는데

 민간인통제구역을 방문하였다 → 비움터를 찾아갔다 / 고요터를 다녀갔다


민간인통제구역 : x

민통선 : x

민간인(民間人) : 관리나 군인이 아닌 일반 사람. 흔히 보통 사람을 군인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통제구역(統制區域) : 1. [군사] 군사적인 목적에 따라 출입을 제한하거나 제약하는 구역 2. [교통] 항공 교통을 제한하거나 제약하는 일정한 공간



  영어로는 ‘디엠지(DMZ)’라 이르는 곳이 있습니다. 일본스런 한자말로 ‘민간인통제구역·민통선’이나 ‘비무장지대’라 일컫는데, 앞으로 이곳이 바뀌어야 한다는 마음을 담아서 ‘비움터·빈터·빈판’이나 ‘벌·벌판·텅빈곳’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고요터’나 ‘허허벌·허허벌판·허허들·허허땅·허허판’이라 할 만합니다. 아직은 좀 먼 듯싶어도 이제는 ‘따뜻터·따뜻자리·따뜻땅·따뜻골’이나 ‘아늑터·아늑자리’에 ‘포근터·포근자리·포근땅’으로 바뀌어야지 싶습니다. ㅍㄹㄴ



민간인은 걸어서 통과할 수 없는 민통선을 군인 한 사람 대동하고 들어설 때의 그 감격이란! 나는 보무도 당당하게 들어갔다

→ 여느 사람은 걸어서 지날 수 없는 고요터를 싸움이 한 사람 이끌고 들어서는 기쁨이란! 나는 힘차게 걸어갔다

→ 아무나 걸어서 지날 수 없는 비움터를 싸울아비 한 사람하고 들어서니 벅차다! 나는 씩씩하게 들어갔다

《내 나이가 어때서?》(황안나, 샨티, 2005) 19쪽


한편, 민통선 안의 저수지와 한탄강은 사람과 천적으로부터 새들을 보호해 주는 귀한 잠자리가 된다

→ 그리고, 고요터에 있는 못과 한탄강은 사람과 맞잡이한테서 새를 지켜주는 고마운 잠자리이다

→ 또한, 허허땅에 있는 못과 한탄강은 사람과 목숨앗이한테서 새를 감싸주는 고마운 잠자리이다

《새, 풍경이 되다》(김성현·김진한·최순규, 자연과생태, 2013) 9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