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5.30.
《나무의 시간》
이혜란 글·그림, 곰곰, 2021.6.10.
새벽에 집안일을 추스르고서 아침에 느긋하게 집을 나선다. 두 아이랑 곁님이 보금숲에서 즐겁게 놀이살림과 배움하루를 누리기를 바라면서 고흥읍을 거쳐 부산으로 달린다. 석 달째 조금씩 여미는 글꽃(동화) 한 자락은 막바지이다. 북적이는 사람물결을 헤치고서 문현동 안골목을 거니니 햇볕이 넉넉하고 조용하다. 〈나락서점〉에 깃든다. 서서 고명재 씨 책을 읽는데, 이분은 2020년에 ‘조선일보 신춘문예 등단’을 했다. 우리는 ㅈㅈㄷ뿐 아니라, ‘허울’에 안 기대면서 글빛을 일구는 살림노래로 나아갈 수 있을까. 저녁에 〈책과 아이들〉에서 ‘동심읽기 첫걸음’을 편다. 《이거 그리고 죽어》하고 《마음 속에 찰칵》이라는 두 책을 어떤 눈빛으로 읽어내어 우리 스스로 어떤 살림씨앗을 저마다 마음에 심으면서 피어날 만한지 이야기한다. 한밤에 《나무의 시간》을 돌아본다. 나무는 즈믄해나 두즈믄해를 가볍게 몸살림을 잇는 이웃이다. 석즈믄이나 넉즈믄이라는 긴날을 우람나무로 서기도 한다. 오늘날 글바치와 그림바치는 “가지치기에 안 시달린 나무”를 거의 모른다. 예부터 사람들은 ‘마른가지’를 찾아서 나무를 했다. ‘산나무’를 벨 적에는 절부터 하고서 여름내 해바람에 말려서 썼다. ‘나무한살림’은 누구 말할 수 있는가.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