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휴일 8
신조 케이고 지음, 장혜영 옮김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5.25.

책으로 삶읽기 1019


《매일 휴일 8》

 신조 케이고

 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5.4.30.



《매일 휴일 8》(신조 케이고/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5)을 읽는다. 줄거리를 늘이고 또 늘인다. 삶을 잇는 사람이기에, 하루하루 살아내는 길을 그리면 온갖 줄거리를 그릴 수 있다. 다만, 스스로 그려서 짓고 나누고 펴고 누리는 삶이 아니라, 짝을 안 맺으면 안 된다고 여기듯 엮으면서 가볍게 실랑이가 잇는 얼거리라면, 그저 끝없이 늘이다가 어영부영 흩어지게 마련이다. 사랑을 바라볼 적에는 헤매거나 어지럽지 않다. 사랑을 안 바라보기에 기웃기웃한다. 사랑을 품고서 심는 하루일 적에는 힘들거나 지치지 않는다. 사랑을 안 품고 안 심으니까 힘겨우면서 그만 지쳐서 쓰러진다. “ひらやすみ”란 무엇인가? 붓을 쥔 그림꽃님부터 스스로 헤매면서 길을 안 열려고 하는구나. 길은 얼마든지 헤맬 만하고 헤매면서 새롭게 눈을 뜰 수 있다만, 억지로 이리 헤매거나 저리 헤매야 하지 않는다.


ㅍㄹㄴ


‘요새 들어 스스로를 아이 같다고 느끼는 건, 제대로 연애해 본 적이 없기 때문일까? 어린애 같아서 만화도 못 그리고 있는 게 아닐까?’ (29쪽)


‘나 왜 이렇게 열심히 하고 있는 걸까? 데이트를 위해?’ (52쪽)


“타치바나 씨는 지금 하는 일을 별로 안 좋아하세요?” “음, 원래는 좋아했어요.” (69쪽)


‘만화를 그리고 싶은데 시간이 없어!’ (172쪽)


+


#ひらやすみ #真造圭伍 


지붕 위에 올라가는 거 진짜 좋아했는데

→ 지붕에 올라기기 참 즐겼는데

→ 지붕에 참말 즐겨 올라갔는데

→ 지붕에 참 자주 올라갔는데

189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