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5.14.

숨은책 968


《百濟 百濟人 百濟文化》

 박종숙 글

 지문사

 1988.8.10.



  제가 삶터로 고른 전라남도 고흥은 제법 오래도록 ‘마한·백제’라는 나라가 있던 곳입니다. 마을 분들이 삽차를 쓰지 않고 삽을 써서 땅을 파도 웬만한 곳에서 옛살림(유물)이 나옵니다. 그러나 이곳뿐 아니라 전라남북도 웬만한 시골에서는 옛살림이 나오면 바로 삽으로 깨부숩니다. 옛살림이 나온 땅은 논밭으로 못 일구고 팔지도 못 하거든요. 《百濟 百濟人 百濟文化》를 읽었습니다. 작은아이한테도 읽히려다가 그만두었습니다. 지난날 일본이 이 땅을 차지하는 동안에 우리 옛책을 남몰래 숱하게 빼앗겼다고 하는데, 빼앗긴 옛책도 많지만, 박살난 옛살림도 많고, 1945년 뒤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 스스로 없앤 옛살림도 수두룩합니다. 우리는 우리 옛자취를 돌아볼 만하지 않아요. 몇 안 되는 부스러기로 끼워맞출 수밖에 없으며, 이마저도 대단히 버겁습니다. 스스로 잊고 잃어서 사라진 살림길은 되찾지 못 합니다. 더구나 백제뿐 아니라 고구려나 가야나 신라 적에 살던 수수한 논밭지기는 어떤 집에서 어떤 옷차림에 어떤 밥살림을 꾸렸는지 아예 못 짚는 판입니다. 먼발치가 아닌 오늘 2025년을 짚어 봐요. 2025년 ‘여느사람(일반인) 밥옷집 살림살이’를 무어라 책에 남길 만할까요? 마을과 골목과 고샅을 이룬 작은사람은 이미 ‘소수자’조차 아닌 ‘사라졌거나 사라질 귀퉁이’입니다. 그리고 붓을 쥔 이들 가운데 마을사람은 없다시피 해요. 마을에서 안 살면서 ‘취재’만 하고 ‘기록’만 들추려 한다면, 마을자취도 삶자취도 옛자취도 늘 맴돌이에서 그칩니다. 오늘살림을 잊는 나라에는 어제살림도 모레살림도 아득합니다. 스스로 빚을 잊은 사람한테서는 빚더미만 쌓일 뿐, 별빛도 숲빛도 찾아볼 길이 없습니다.


ㅍㄹㄴ


《百濟 百濟人 百濟文化》(박종숙, 지문사, 1988)


그들이 이용했을 海路에 대해서는 최소한 세 가지 海路

→ 그들이 탔을 바닷길은 적어도 세 가지

→ 그들이 다녔을 뱃길은 적어도 세 가지

34쪽


고고학적으로 언어학적으로, 또 체질학적으로 고대 일본의 한국에 대한 지배는 語不成說임이 밝혀지고 있다

→ 옛길살림으로 말밭으로 몸으로 옛날 일본이 이 땅을 다스릴 수 없는 줄 밝혔다

→ 오래빛으로 낱말꽃으로 바탕으로 옛 일본이 이 땅을 못 다스린 줄 드러났다

48쪽


백제의 國敎는

→ 백제 나라길은

→ 백제 나라빛은

→ 백제 나라밑은

97쪽


지금 전통 옷이라고 하는 한복과 똑같은

→ 오늘 겨레옷이라고 하는 한옷과 똑같은

→ 오즘 나라옷이라고 하는 한옷과 똑같은

124쪽


한복과 한식 그리고 한옥이 다 백제의 의복와 음식 그리고 가옥이라는 뿌리에서 나온 것은 사실이지만

→ 한옷과 한밥과 한집이 다 백제 옷과 밥과 집이라는 뿌리이지만

→ 한옷과 한밥과 한집이 모두 백제라는 뿌리에서 나왔지만

→ 한옷과 한밥과 한집은 백제에서 비롯했지만

124쪽


누에를 치고 목화를 재배했다

→ 누에를 치고 솜꽃을 길렀다

→ 누에를 치고 솜을 가꿨다

126쪽


천으로 만든 관을 썼는데

→ 천으로 짠 갓을 썼는데

129쪽


특히 生食이나 自然食은 건강의 비결이라고 한다

→ 그냥밥이나 숲밥이기에 튼튼하다고 한다

→ 날밥이나 푸른밥이라서 튼튼몸이라고 한다

136쪽


분명 병자에게 이로운 식이요법임에 틀림없다

→ 틀림없이 앓는 사람한테 이바지할 밥길이다

→ 아픈 사람을 도울 밥살림이 틀림없다

136쪽


함께 火食도 했으니

→ 함께 불밥도 했으니

→ 함께 굽기도 했으니

→ 함께 익혀 먹었으니

136쪽


당시 중국과 거의 같은 세시풍습이 있었다

→ 그때 중국과 거의 같은 놀이꽃이 있었다

→ 그무렵 중국과 거의 같은 밑길이 있었다

→ 그즈음 중국과 거의 같은 살림길이 있었다

154쪽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古文을 알지 않으면 안 된다

→ 깊이 알려면 중국 오래글을 알지 않으면 안 된다

→ 바탕을 살피려면 중국 옛글을 알지 않으면 안 된다

165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