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어른곁 2025.4.21.달.



‘어른곁’은 ‘나무곁’과 같아. ‘아이곁’은 ‘바다곁’이나 ‘하늘곁’과 같지. ‘어른곁’이라면 ‘숲곁’에 ‘들곁’일 테고, ‘아이곁’은 ‘별곁’에 ‘샘곁’ 같고. 아이도 어른도 나무곁으로 다가간단다. 어른도 아이도 바다곁이나 하늘곁으로 다가서. 누구나 하나이고 혼자인데, 저마다 빛나는 숨이고 밝은 꽃이라서, 스스럼없이 다가가고 다가서지. 어른곁이란 놀면서 자랄 만한 자리야. 어른곁은 누구나 스스로 하면서 스스럼없이 어울리는 마당이야. 어른곁은 느긋이 잠들면서 기운이 차오르는 집이고, 어른곁은 한결같이 푸르게 노래하는 곳이야. 누구나 어른곁에서 태어났어. 어느 어른곁은 높다란 봉우리라면, 어느 어른곁은 뛰놀 들판이고, 어느 어른곁은 아기자기한 뒤꼍인데, 어느 어른곁은 왁자지껄 놀이터야. 고즈넉이 나무로 우거진 어른곁이 있고, 봄 같거나 여름 같거나 가을 같거나 겨울 같은 어른곁이 있어. 모든 어른곁은 달라. 이래야 하거나 저래야 하는 틀이란 없지. 다 다른 어른곁은 다 다르게 어울리면서 살아가는 마을이야. 너는 어른곁에서 두고두고 느긋하게 자라나지. 이윽고 너는 어른하고 어깨동무하며 ‘새어른’으로 서더니, 이제는 아이곁에 나란히 서는 즐거운 사람으로 깨어난단다. 사람이 왜 사람일까? 사람은 늘 어른곁이면서 아이곁에 서는 ‘하나인 두 빛’이거든. 아이답기에 어른스러워. 어른답기에 아이스러워. 아이하고 놀기에 어른이야. 어른하고 얘기하기에 아이야. 어른한테서 듣기에 아이요, 아이한테서 들으니 어른이지. 너는 아이들이 찾아오는 ‘어른곁’으로 살림을 하니? 너는 몸소 ‘어른곁’으로 찾아가는 아이로서 사랑을 하니?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