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으뜸재주와 고을빛 (2025.3.15.)
― 부산 〈카프카의 밤〉
서울이 ‘으뜸고을’일 수 있습니다. 사람도 많고, 일도 많고, 펴냄터와 책집도 많습니다. 그러나 으뜸고을 한 곳만으로는 나라가 굴러가지 않아요. 숱한 작은고을과 시골이 밑바탕을 이룰 노릇이요, 여러 큰고을이 기둥으로 설 노릇입니다.
비오는 저녁에 부산 〈카프카의 밤〉에서 ‘이응모임(이오덕 읽기모임) 11걸음’을 뗍니다. 오늘은 ‘이오덕·윤이상’ 두 분이 부산에서 맺고 얽힌 이음고리를 짚으면서 “걷고 다시 걷고 또 걷는 멧숲길에서 지은 노래”를 이야기합니다. 여러모로 보면, 부산은 이 땅에서 “품고 북돋우며 살리는 고을빛”이 아름다워요. 텃사람이든 아니든 살림꽃을 빛내는 즐거운 고을인데, 고을지기는 잘 모르는 듯해요.
온누리 모든 사람은 저마다 ‘재주있는(유능)’ 매무새라고 느낍니다. 다 다르게 재주가 있을 뿐, 높은재주와 낮은재주로 가르지 못 한다고 느껴요. 나라(사회·정부)는 자꾸 높은재주를 섬기거나 내세우려 하지만, 우리 스스로 “다 다른 사람한테서 다 다른 빛”을 헤아릴 적에 “재주가 아닌 마음으로 빚고 짓고 가꾸는 살림길”을 읽고 이을 만하다고도 봅니다.
지난날에는 아이가 “아직 재주는 조금 밭다고 하더라도, 마음씀을 헤아려서 철들어 가는 빛이 대견하구나 싶을” 적에 “훌륭한 아이(어린이·푸름이)”라는 말씨로 추키려는 뜻을 나누려고 했어요. 임금님이 조금 어리숙하더라도 온나라를 너그럽고 넉넉히 헤아리면서 곧은길과 살림길을 펼 적에도 “훌륭한 임금님”이라 일컬었습니다. 이와 달리 오늘날에는 엉뚱하게 “재주있는 사람”한테 “훌륭한 재주”처럼 쓰곤 하는데, ‘재주’라면 “남다른 재주”나 “유난한 재주”나 “튀는 재주”나 “빼어난 재주”처럼 써야 알맞은 말씨일 텐데 싶습니다.
‘사랑매’라든지 “사랑해서 그랬어”라는 말씨는 아주 틀렸다고 해야 한다고 봅니다. 사랑이라면 때리거나 칠 수 없거든요. ‘살섞기(성관계)’는 “살을 섞는 몸짓”일 뿐, 사랑이 아닌데, 요즈음에는 ‘연애·애정행각’까지 자꾸 ‘사랑’이라고 뒤집어씌우기도 합니다. 말을 말답게 쓰지 않을 적에는 마음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길이 막히고, 말을 말답게 쓰려 할 적에는 마음을 스스럼없이 펴고 나누면서 살림짓기로 잇는다고 느껴요.
재주를 너무 앞세운 탓에 마음이 뒤틀리거나 뒷짓·몰래짓으로 돈·이름·힘을 크게 벌면 그냥그냥 봐주기까지 하는데, 앞으로 이 땅을 아이들이 물려받아서 새롭게 가꿀 노릇이니, 이제부터는 마음씨를 살피고 말씨를 가다듬는 하루로 바꿀 일이라고 봅니다.
ㅍㄹㄴ
《교수대의 비망록》(율리우스 푸치크/김태경 옮김, 여름언덕, 2012.6.16.)
#Reportaz psana na opratce (1947년)
《타락한 저항》(이라영, 교유서가, 2019.3.22.첫/2019.5.17.2벌)
《볼륨디카시선 1 독창》(강미옥과 아홉 사람, 커뮤니케이션볼륨, 2024.9.9.)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숲노래·최종규, 철수와영희, 2025.3.28.)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