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구역 區域
출입 금지 구역 → 막는곳 / 닫은곳
맡은 구역을 순찰하다 → 맡은 자리를 살피다
다섯 구역으로 분류하였다 → 다섯 집으로 갈랐다 / 다섯 갈래로 나눴다
모두가 정해진 구역에서 장사를 해야지 → 모두가 맡은 데에서 장사를 해야지
‘구역(區域)’은 “1. 갈라놓은 지역 ≒ 구우 2. [기독교] 한 교회의 신자들을 지역에 따라 일정 수로 나누어 놓은 단위”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가르다·가지·각단·갈래·갈라놓다·쪼개다·쪽’이나 ‘고이다·끼치다·미치다·번지다·퍼지다’로 손봅니다. ‘골·곳·께·녘·데·터·터전·텃밭’이나 ‘기슭·기스락·깃·깃새·길’로 손보고, ‘담·담벼락·담다·우리·울·울타리’로 손볼 수 있어요. ‘도막·동·뜸·토막·통·통속’이나 ‘마당·마을·바닥·밭·판·품·품다’로 손봅니다. ‘사이·새·실·앞뒤·칸·켠·틈’이나 ‘아우르다·안·안다·안쪽·어우르다·크고작다’로 손보면 되고, ‘자리·자위·즈음·집·쯤·짬·참·춤’으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구역’을 여덟 가지 더 실으니 모두 털어냅니다. ㅍㄹㄴ
구역(九域) : 중국 전체의 국토
구역(九譯) : 아홉 번이나 통역을 거쳐야 언어가 통한다는 뜻으로, 아주 먼 나라를 이르는 말 ≒ 중구역
구역(狗疫) : 개가 앓는 돌림병
구역(嘔逆) : 토할 듯 메스꺼운 느낌 = 욕지기
구역(?逆) : 믿음과 의리를 저버리고 돌아섬 = 배반
구역(舊域) : 옛날의 지역이나 영토
구역(舊譯) : 1. 이전에 한 번역 2. [불교] 후한 때부터 원나라에 이르기까지 천여 년 동안 한역(漢譯)된 불교 경전 가운데에서 당나라 현장(玄?) 이전에 행해진 번역
구역(驅役) : 1. 사람이나 동물을 함부로 몰아쳐 부림 = 구사 2. 말이나 수사법, 기교, 수단 따위를 능숙하게 마음대로 부려 씀
나한테도 영어는 모국어가 아냐. 보호구역의 미션스쿨에서 배웠지
→ 나한테도 영어는 엄마말이 아냐. 돌봄터 믿음배움터에서 배웠지
《사랑과, 사랑을 둘러싼 것들》(한강, 열림원, 2003) 10쪽
지구 전체가 자연보호구역이 되어
→ 지구를 통째로 숲돌봄터로 삼아
→ 지구를 다 숲가꿈터로 삼아
《토성 맨션 1》(이와오카 히사에/오지은 옮김, 세미콜론, 2008) 6쪽
처음으로 접한 가짜 동물보호구역은 내 고향인 캐나다 토론토에서였다
→ 내 텃마을인 캐나다 토론토에서 거짓 이웃돌봄터를 처음으로 봤다
→ 내가 나고자란 캐나다 토론토에서 시늉 들돌봄터를 처음으로 알았다
→ 내가 나고자란 캐나다 토론토에서 눈가림 들돌봄터전을 보았다
→ 내가 태어난 캐나다 토론토에서 눈속임 푸른돌봄터를 보았다
《고통받은 동물들의 평생 안식처 동물보호구역》(로브 레이들로/곽성혜 옮김, 책공장더불어, 2018) 115쪽
구역 싸움 같은 건 하고 싶지 않은데
→ 자리 싸움 따위는 하고 싶지 않은데
→ 터 싸움이라면 하고 싶지 않은데
《하이스코어 걸 7》(오시키리 렌스케/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20) 79쪽
애송이들이 인사도 없이 우리 구역에서 놀았다
→ 애송이들이 말도 없이 우리 마당에서 놀았다
→ 애송이들이 얘기도 없이 우리 터에서 놀았다
《흑철 1》(토우메 케이/최윤정 옮김, 학산문화사, 2021) 10쪽
이 구역에 있는 존재들이 테두리 안쪽이 아니라 바깥쪽을 향한다면 어떻게 될까
→ 이쪽에 있는 님이 테두리 안쪽이 아니라 바깥쪽을 바라본다면 어떻게 될까
→ 이쪽에 있는 분이 테두리 안쪽이 아니라 바깥쪽으로 간다면 어떻게 될까
《너무나 정치적인 시골살이》(양미, 동녘, 2024) 1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