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폭주 暴酒


 폭주를 하지는 않았다 → 술지랄은 안 했다 / 곤드레하지는 않았다

 나의 폭주를 걱정해 줬습니다 → 내 말술을 걱정합니다

 매일 폭주하는 습관은 → 날마다 퍼마시는 버릇은


  ‘폭주(暴酒)’는 “술을 한꺼번에 많이 마심 = 폭음”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거나하다·거나꾼·건하다’나 ‘고주망태·고주·곤드레·곤드레만드레·곤드라지다’로 고쳐씁니다. “너무 마시다·지나치게 마시다·마구 마시다”나 ‘막술·막술질·말술·벼락술’로 고쳐써요. ‘비칠·비칠거리다·비틀·비틀거리다’나 ‘술기운·술결·술김·술냄새·술내·술내음’으로 고쳐쓸 만하고, ‘술에 절다·술에 빠지다·술꾼’이나 ‘술고래·술바보·술벌레·술깨비’로 고쳐씁니다. ‘술지랄·술짓·술지랄꾼·술지랄놈·술짓꾼’으로 고쳐쓰고, ‘알딸딸·얼떨떨·얼큰하다’나 ‘푸다·퍼마시다·회오리술’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폭주는 금물이다. 한국인들은 젊어서 폭음하는 경향이 있다

→ 막술은 안 된다. 한겨레는 젊어서 말술을 하기 일쑤이다

→ 술고래는 말아라. 우리는 젊어서 벼락술을 자꾸 한다

《송건호 전집 18》(송건호, 한길사, 2002) 150쪽


식사가 끝난 직후에 여타의 음주를 강요하거나 폭주하는 일을 삼가기로 약속한다

→ 밥을 먹고서 술을 들이밀거나 마구 마시지 않기로 다짐한다

→ 밥을 먹고 나서 술을 먹이거나 술지랄을 안 하기로 다짐한다

《행복의 역사》(대린 맥마흔/윤인숙 옮김, 살림, 2008) 5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