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5.2.22.
사진책시렁 160
《아프리카의 美》
미렐라 리키아르디 글·사진
홍동선 옮김
범양사
1982.9.9.
책이름을 슬쩍 바꾸기만 해도 줄거리를 잘못 읽거나 엉뚱하게 새기게 마련입니다. 《아프리카의 美》라는 이름으로 옮긴 ‘미렐라 리키아르디’ 님 책은 “Vanishing Africa”라는 이름으로 1974년에 처음 나옵니다. 아프리카를 다루는 적잖은 책은 ‘Vanishing’이라는 낱말을 자주 붙입니다. 한글판을 내려는 분은 “아름다움이 사라진다”는 뜻을 알리려는 마음이었을까요? 1982년까지도 쉽사리 마주하기 어려운 아프리카 살림살이를 ‘아름답다’고 여기며 받아들이자는 뜻이었을까요? 오래도록 이은 살림결을 고스란히 건사한 하루가 ‘아름답다’는 뜻이었을까요? ‘잇다·지키다’란 무엇일는지, ‘오늘·어제’란 무엇일는지, 글과 그림으로 새겨 놓기에 안 사라질는지, 손끝과 발끝으로 하루하루 누리는 즐거운 이야기일 적에는 따로 글이나 그림으로 옮길 까닭이 없이 언제까지나 한결같이 이으면서 누리는 사랑이 아닐는지 곱씹을 노릇입니다. 찰칵 찍어 놓아야 안 사라지지 않습니다. 보금자리에서 살림을 짓는 작고 수수한 마을이 푸른숲을 품으면서 오늘을 열고 앞길을 그릴 적에 그저 곧게 별빛으로 이어가게 마련입니다. 마음에는 남기지 않고서 글과 그림으로만 섣불리 옮길 적에는 어떤 것도 남아나지 않습니다.
ㅍㄹㄴ
#MirellaRicciardi #VanishingAfrica 1974
이 책의 저자 리키아르디는 이 생생한 아름다움을 너무나도 사랑했기에 목숨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아프리카의 오지를 불굴의 의지와 불요의 용기를 가지고 찾아 다니면서 이제는 보기 힘들어지는 여러 가지 극적인 장면들과 각 부족인들의 특성을 극히 예민하고도 예술적인 감각으로 포착하여 그 아름다운 잔영들을 영원한 기록으로 남겼다. (188쪽/역자 후기)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