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권모술수



 권모술수에 능하다 → 잘 물어뜯는다 / 으레 알랑거린다 / 뒷셈을 잘하다

 세력 확장을 위해 온갖 권모술수를 다 썼다 → 힘을 뻗으려고 온갖 뒷짓을 썼다

 제갈량 등의 권모술수로 종미되었는데 → 제갈량 들이 덫으로 맺었는데


권모술수(權謀術數) :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 권모술책·권수·권술



  이렁저렁 마구 벌이는 짓은 속이 시커멓습니다. 이런 짓은 ‘거짓질·검은셈·까만셈·궂은셈’이기 일쑤요, ‘골리다·구렁이·꾀·꾀앓이·꾀짓·잔꾀’나 ‘꿍꿍이·꿍꿍이셈·꿍꿍이속·꿍셈’이라 할 만합니다. ‘꿰맞추다·꿰매다·낳다·땋다·내숭’이나 ‘놀리다·눈비음·능구렁이·능청’으로 나타내지요. ‘덫·덫짓·올가미·올무·짬짜미’나 ‘뒤·뒤쪽·뒤켠·뒷자락’이라 해도 어울리고, ‘뒷마음·뒷넋·뒷얼·뒷생각·뒷셈·뒷질’이라 할 수 있어요. ‘뜯다·머릿셈·몰래질·몰래짓·할퀴다·헐뜯다·후비다’로 나타냅니다. ‘물어뜯다·사이뜯기·손가락질·이름뜯다·이웃뜯기·쥐어뜯다’로도 나타내요. ‘생각·속눈·속보이다·속셈·속임셈·일·일살림·하다’로 나타낼 자리가 있고, ‘여미다·엮다·여우같다·짜다·째다’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아무래도 ‘알랑거리다·야릇하다·엉큼하다·응큼하다’가 가깝구나 싶습니다. ‘입맞춤·혀맞춤·장난·줄타기·-질·짓·짓거리’로 벌이고, ‘더럽다·지저분하다·추근거리다·치근거리다·흉보다’로 나타낼 만합니다. ㅍㄹㄴ



권모와 술수 이권과 정실

→ 눈비음 돈 섶

→ 꿍꿍이 길미 끈

→ 뒷질 돈힘 노

《나와 함께 모든 노래가 사라진다면》(김남주, 창작과비평사, 1995) 5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