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시작 試作


 시작(試作)에 설레다 → 첫길에 설레다

 새로운 시작(試作)과 시작(始作)이다 → 새길과 첫길이다

 시작(詩作)을 금일부터 시작(試作)한다 → 오늘부터 노래를 써본다


  ‘시작(試作)’은 “시험 삼아 만들어 봄. 또는 그런 작품”을 가리킨다고 합니다만, ‘처음것·첫것·처음글·첨글’이나 ‘첫걸음·첫벌·첫그림·첫글’로 고쳐씁니다. ‘첫길·첫목·첫밗·첫씨·첫싹’이나 ‘맛보기·맛선·맛을 보다’로 고쳐쓰지요. ‘보기·보이다·보여주다·보기책·보임책’이나 ‘애벌·첫벌·씨앗글·옛판’로 고쳐쓸 만합니다. ‘밑글·밑·밑동·밑빛’이나 ‘살짝책·살몃책·새·새롭다·새눈·새길·새걸음’으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새로서다·선·선자리·선보이다’로 고쳐쓰고, ‘나서다·나타나다·드러나다’나 ‘써보다·해보다’로 고쳐씁니다. 이밖에 낱말에 한자말 ‘시작’을 둘 더 실으나 다 털어냅니다. ㅍㄹㄴ



시작(時作) : = 시작인

시작(詩作) : 시를 지음. 또는 그 시 ≒ 작시(作詩)



그대로 가게에 직행해 시작품을 만들었어

→ 그대로 가게에 가서 맛보기를 해봤어

→ 가게에 바로가서 보기를 해보았어

《파티스리 MON 10》(키라/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9) 55쪽


그 시작품을 녀석에게 달았어

→ 보기를 녀석한테 달았어

→ 첫밗을 녀석한테 달았어

→ 애벌을 녀석한테 달았어

《하쿠메이와 미코치 1》(카시키 타쿠로/이기선 옮김, 길찾기, 2015) 63쪽


아직 시작품이라 그래

→ 아직 맛보기라 그래

→ 아직 애벌이라 그래

《7인의 셰익스피어, 제1부 1》(사쿠이시 해롤드/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19) 50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