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2.12.

숨은책 1017


《조병옥 이승만 부정선거 투표지》

 이승만 짓

 자유당

 1960.3.15.



  1960년에 이승만 씨가 ‘속임짓(부정선거)’을 안 했다고 여기는 모지리가 뜻밖에 대단히 많습니다. 이들은 눈코귀입을 모두 감추고 온나라에 거짓말을 심으면서 벼슬자리를 거머쥐려 하는구나 싶어요. 예나 이제나 매한가지인데, 일본은 이 땅을 수렁(식민지)으로 옭죄면서 ‘문화발전·경제발전·정치발전’을 해주었다고 뻥을 칩니다. 박정희 씨도 마찬가지라서, 박정희가 우두머리를 맡았기에 우리가 ‘배고픈 살림’을 벗어났다고 외치곤 합니다. 사람들이 피땀을 바쳐 일했기에 스스로 가난을 벗었을 뿐이나, 그마저 나랏놈과 벼슬꾼이 가로챘습니다. 날마다 거의 20시간씩 잠도 못 이루고 쉴틈마저 없이 뼈를 깎던 사람들 피땀은 어디로 갔을까요? 《조병옥 이승만 부정선거 투표지》는 말로만 들었습니다만, 더욱이 그림(사진)으로도 못 보았습니다만, 2024년에 처음으로 보았습니다. ‘부정선거 투표지’는 그때 워낙 엄청나게 찍어댔기 때문에 ‘이승만 자유당’뿐 아니라 ‘박정희·전두환’을 거치는 사이에 ‘그들’이 아무리 샅샅이 뒤져서 없애려고 했어도 뭉치로 오래도록 곳곳에 떠돌았다지요. 아직 이 나라 골골샅샅 귀퉁이에 박히거나 잠든 채 깨어날 날을 기다릴 수 있어요. 미리 ‘리승만 ○’로 찍어서 뿌린 종이입니다. 이렇게 뿌려댔기에 1960년 그날 ‘100% 리승만 지지’가 나올 수 있었습니다. 아니 ‘100% 넘게’ 나왔기에 허둥지둥 깎고 숨겨서 맞추었지요.


ㅍㄹㄴ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부정투표지 사진'은 저작권이 있으니

함부로 가져다 쓰지 않기를 바랍니다.

'부정투표지 사진'을 쓰고 싶다면,

'블로그 펌질'을 하더라도

저작물 사용허락을 받기를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