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신부 新婦
신부 화장을 하다 → 각시로 꽃바른다
이제 1년차 신부입니다 → 이제 한살배기 님입니다
신부가 기다리고 있는 → 지어미가 기다리는
‘신부(新婦)’는 “갓 결혼하였거나 결혼하는 여자”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우리말로는 ‘각시·지어미’라 했습니다. 오늘날에는 ‘신랑·신부’를 나란히 ‘곁님·곁씨·곁벗’이나 ‘곁짝·곁짝지·곁사랑’으로 서로 가리킬 만합니다. 수수하게 ‘짝·짝꿍’이나 ‘님·임’이라 하고, ‘새님·여보·이보·이녁’이라 하지요. ‘사랑·사랑꽃’이나 ‘살림이·살림님·살림꾼’이라 해도 어울려요. ‘꽃짝·꽃짝지·아름짝·아름짝지’나 ‘살림꾼·살림님·살림지기’나 ‘온짝·온짝님·온짝지’라 해도 되어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신부’를 아홉 가지 더 싣는데 다 털어냅니다. ㅍㄹㄴ
신부(信否) : 믿을 수 있는 일과 믿을 수 없는 일을 아울러 이르는 말
신부(信部) : [역사] 발해의 중앙 관제인 육부(六部) 가운데 산택(山澤), 공장(工匠), 영조(營造) 따위에 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신부(信符) : 1. [역사] 조선 시대에, 대궐을 드나드는 일정한 하례(下隷)에게 병조에서 내어 주던 문표 2. [역사] 도성 문을 갑자기 열어야 할 일이 있을 때에, 대궐에서 문을 열게 하는 표지로 내리던 패
신부(神父) : 1. [가톨릭] 주교 다음가는 성직자. 성사를 집행하고 미사를 드리며 강론을 한다 2. [기독교] 그리스 정교회와 프로테스탄트 일부 분파에서 ‘1’을 이르는 말
신부(神府) : [종교 일반] 삼부(三府)의 하나. 대종교에서, 한얼님이 있는 곳을 이르는 말이다
신부(神斧) : 신령한 도끼
신부(神符) : [민속] 잡귀를 쫓고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몸에 지니거나 집에 붙이는 종이 = 부적
신부(新府) : 새로 이루어진 고을
신부(新赴) : 새로 부임함
오직 산장만이 흰 면사포를 뒤집어쓴 신부처럼 다소곳이 나를 맞아 주었다
→ 오직 멧쉼터만이 하얗게 뒤집어쓴 채 다소곳이 나를 맞아 주었다
→ 오직 오막채만이 하얗게 뒤집어쓴 채 다소곳이 나를 맞아 주었다
《온길 삼만리 갈 길 구만리》(김홍성, 산악문화, 1991) 55쪽
신부의상은 가능한 여러 사람의 바늘이 들어가야 하는 거야
→ 곁님 옷은 되도록 여러 사람 바늘이 들어가야 해
→ 곁짝 꽃옷은 되도록 여러 사람 바늘이 들어가야 해
《신부 이야기 4》(모리 카오루/김완 옮김, 대원씨아이, 2012) 171쪽
신부 측 집에서 방을 하나 마련해 치러진다
→ 각시 쪽 집에서 칸을 하나 마련해 치른다
→ 곁짝 쪽 집에서 자리를 하나 마련해 치른다
《신부 이야기 5》(모리 카오루/김완 옮김, 대원씨아이, 2013) 83쪽
젊지도 늙지도 않은 신부(新婦)
→ 젊지도 늙지도 않은 각시
→ 젊지도 늙지도 않은 꽃님
→ 젊지도 늙지도 않은 곁벗
《빵 굽는 시간》(전태련, 문학의전당, 2015) 103쪽
좋은 신부가 될 거예요
→ 좋은 각시가 되어요
→ 좋은 살림꾼이 돼요
→ 좋은 님이 되어요
《집주인은 사춘기! 2》(미나세 루루우/장지연 옮김, 대원씨아이, 2016) 8쪽
내일이라는 신부가 란제리를 입고 칸나의 뺨으로 다가오리라
→ 다음이라는 꽃님이 속곳을 입고 붉나리 뺨으로 다가오리라
→ 너머라는 각시가 샅곳을 입고 붉은나리 뺨으로 다가오리라
《흰 꽃 만지는 시간》(이기철, 민음사, 2017) 21쪽
점장님의 신부 후보란다
→ 지기님 짝궁감이란다
→ 지기님 곁님감이란다
《개굴 상점 1》(카니탄/김서은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0) 4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