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 말넋 2025.2.2.

오늘말. 남누리


빨래를 마치고서 구럭에 담아 마당에 섭니다. 여름에도 겨울에도 해바람에 옷가지를 말립니다. 햇볕이 넉넉한 날에는 해내음이 옷자락에 스밉니다. 바람이 싱그러운 하루라면 바람빛이 옷마다 깃듭니다. 혼자 살림을 할 적에는 빨래꾸러미가 없다가, 둘이 살림을 펴면서 빨래고리가 생기고, 아이가 하나둘 태어나면서 보따리가 부쩍 늘어요. 셋을 넘고 넷에 이르니 그야말로 날마다 한바구니씩 빨래가 나옵니다. 넷이니까 네셈을 하는구나 싶고, 이 네가지셈으로 더 넉넉히 누리자고 여깁니다. 옷도 밥도 집도 한결 느긋하게 나누는 길입니다. 작은아이는 갓 딴 열매도 말린과일도 즐깁니다. 딴아이가 어떤 밥을 즐기는지 몰라도 돼요. 우리 보금자리에서 짓는 길을 헤아립니다. 멀디먼 다른 곳을 쳐다볼 적에는 그만 저마다 마음에 담을 이야기를 놓쳐요. 우리누리도 남누리도 등질 까닭은 없되, 먼저 살림누리를 살피면서 온누리에 흩뿌리를 사랑씨앗을 생각합니다. 서두르며 부엌일을 하면 그만 칼에 손가락을 베고, 찬찬히 도마질을 하면 핏덩이를 볼 일이 없습니다. 봄끝에는 어떻게 일하나요? 겨울끝에는 무엇을 보나요? 굴뚝새와 때까치가 노래하는 늦겨울입니다.


ㅍㄹㄴ


고리·구럭·버들고리·꾸러미·꾸리·꿰미·뒤주·주머니·집·칸·모둠·모음·타래·함지·바구니·보따리·보퉁이·한바구니·싸다·넣다·담다·두다 ← 상자(箱子), 박스(box)


핏덩이·핏덩어리·핏더미·핏뭉치 ← 혈전(血栓)


네셈·네가지셈·네갈래셈·덧뺄나곱·덧셈 뺄셈 나눗셈 곱셈 ← 가감승제(加減乘除)


셋·세·석·세사람·석사람·그·그들·남·남남·남나라·남누리·멀다·멀디멀다·머나멀다·딴사람·딴놈·딴아이 ← 삼자(三者)


고지·마른과일·말린과일·말린것·말린살림 ← 건과(乾果)


※ 글쓴이

숲노래·파란놀(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