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영어] 포스트모던·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포스트모던 : x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 [문학] 모더니즘이 확립하여 놓은 도그마, 원리, 형식 따위에 대한 거부 및 반작용(反作用)으로 일어난 예술 경향. 특히 1960년 전후의 미국·프랑스 소설의 실험적 작풍이나, 구조주의 이후의 전위적 비평을 이른다. = 후기모더니즘

postmodern : 포스트모던의

postmodernism : 포스트모더니즘, 후기 모더니즘

ポストモダン(postmodern) : 1. 포스트모던 2. 탈(脫)근대주의의 예술 운동. 합리성을 부정하고 근대를 초월하려는 운동

ポストモダニズム(postmodernism) : 1. 포스트모더니즘 2. 탈(脫)근대주의. 20세기의 모더니즘을 부정하고 고전적·역사적인 양식이나 수법을 받아들이려는 예술 운동



우리 낱말책은 ‘포스트모더니즘’을 올림말로 삼습니다만, 일본을 거쳐서 들어온 이 말씨는 ‘새·새롭다’나 ‘새물결·새너울·새바람’이나 ‘새길·새빛’으로 고쳐쓸 만합니다. ‘남다르다·앞서가다·유난하다’나 ‘알깨기·깨다·깨부수다·때려부수다’로 고쳐쓸 수 있어요. ‘크게 바꾸다·판갈이·박살내다’나 ‘확·휙·거듭나다·길틀다·뒤집다’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이 책 끝부분에서 근대적 자유주의와 포스트모던 자유주의의 차이를 설명한다

→ 이 책 끝에서 예전 날개펴기와 새 날개펴기가 다른 대목을 얘기한다

→ 이 책 끝자락에서 예전 혼넋과 새로운 혼넋이 무엇이 다른가를 밝힌다

→ 이 책을 끝맺으면서 옛 혼길과 새로운 혼길이 어떻게 다른가를 말한다

《삐딱한 책읽기》(안건모, 산지니, 2017) 42쪽


포스트모더니즘은 이성 중심의 근대적 사고에 반발하며

→ 새물결은 마음을 바탕으로 두는 길에 맞서며

→ 새너울은 넋으로 바라보는 길에 대들며

→ 새길은 마음꽃으로 생각하는 길을 부수며 

→ 새빛은 밝게 헤아리는 길을 받아치며

《재즈, 끝나지 않은 물음》(남예지, 갈마바람, 2022) 18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