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악마적
악마적 속성 → 사나운 속내 / 소름돋는 바탕 / 몹쓸 결 / 망나니 / 막된
악마적인 악의가 있는 → 몹시 나쁜 / 아주 못된
‘악마적(惡魔的)’은 “악마와 같은”을 뜻한다지요. ‘나쁜이·나쁜뜻·나쁜자리(나쁜몫)·나쁜일·나쁜여자·나쁜소리·나쁜마음·나쁜이름’으로 손볼 만합니다. 여러모로 보면, ‘각다귀·발톱·부라퀴·송곳니·엄니’나 ‘괄괄하다·개구쟁이·개구지다·개궂다’나 ‘날라리·호로놈·호래놈·후레아이’으로 손봅니다. ‘검은이·검님·검놈·깜이·깜님·깜놈·까망’이나 ‘검다·검은짓·까만짓·깜짓·검은판·검정·검정꽃·깜꽃’이나 ‘겨울·서늘하다·얼다·얼음·차갑다·차다·추위·한겨울’로 손볼 만합니다. ‘서슬·섬찟·소름·시리다·싸늘하다·쌀쌀맞다’나 ‘고리다·구리다·궂다·괘씸하다·얄궂다·짓궂다’나 ‘고린내·구린내·고린짓·고리타분하다·고약하다·고얀놈·고얀짓’으로 손보아도 돼요. ‘놈·놈팡이·이놈·저놈·그놈·그악스럽다·그악이’나 ‘끔찍하다·나쁘다·안 좋다·너무하다·사납다·사달·저지레’로 손볼 수 있고, ‘다랍다·더럼것·더럽다·썩다·지저분하다·추레하다’나 ‘마구·마구마구·마구잡이·막것·막나가다’로 손보면 되어요. ‘막놈·막되다·막돼먹다·막짓놈·막하다·만무방’이나 ‘말썽·망나니·개망나니·망나니짓·망나니질’로 손보고, ‘매섭다·매정하다·매운맛·맵다·맵차다’나 ‘모질다·몹쓸·몹쓸짓·못되다·못돼먹다·우락부락’으로 손볼 수 있어요. ‘무쇠낯·무쇠탈·쇠·쇠낯·쇠탈·야살이·얄개·양아치’나 ‘무섭다·무시무시하다·미치다·삼하다·앙칼지다’로 손보거나 ‘부끄럽다·새침·엉터리·옳지 않다·허튼짓·헛소리’나 ‘뻐근하다·쑤시다’로 손보고요. ㅅㄴㄹ
적을 섬멸시켜 버리는 데 있어서는 악마적일 만큼 철저한 작전을 구사해 나가는 전쟁의 천재
→ 놈을 무찔러 버릴 적에는 무시무시할 만큼 꼼꼼히 펼쳐 나가는 싸움꾼
→ 놈을 박살내 버릴 적에는 무서울 만큼 빈틈없이 다잡아 나가는 싸움꽃
→ 놈을 족쳐 버릴 적에는 끔찍할 만큼 구석구석 꾀를 내는 싸움바치
《안녕! 미스터 블랙 3》(황미나, 서화, 1991) 101쪽
오오, 이 얼마나 악마적 퇴폐인가. 이 얼마나 감미로운 도취인가
→ 오오, 이 얼마나 못되고 더러운가. 이 얼마나 달콤히 사로잡는가
→ 오오, 이 얼마나 모질고 추레한가. 이 얼마나 달달히 녹이는가
《신의 물방울 1》(오키모토 슈·아기 타다시/설은미 옮김, 학산문화사, 2005) 176쪽
악마적이리만치 추악한 군사정권
→ 끔찍하리만치 더러운 가시울
→ 소름돋도록 더러운 마구나라
→ 사납도록 지저분한 얼음나라
《재일의 틈새에서》(김시종/윤여일 옮김, 돌베개, 2017) 88쪽
악마적이라 할 만큼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서두와 희망의 끈을 놓치지 않으려는 결말이 빚어낸 기묘한 불완전 협화음이야말로
→ 모질게 새기는 첫머리와 꿈을 놓치지 않으려는 마무리가 뒤엉킨 얼개야말로
→ 차갑게 그리는 첫자락과 빛을 놓치지 않으려는 끝자락이 뒤섞인 줄거리야말로
《우리에게 우주가 필요한 이유》(송수연, 문학동네, 2022) 12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