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9.28.
《살림학 얼과 길》
철호 글, 밝은봄, 2024.9.1.
금정산 기스락을 품은 금성초등학교에서 가을놀이(운동회)를 연단다. 이곳에 얼결에 함께한다. 나는 고무신을 꿰기에 맨발로 이어달리기를 한다. 고무신을 꿰면 달리기 어렵다. 땅바닥을 느끼는 발바닥이 몹시 즐거워한다. 예전에, 그러니까 한참 예전은 1970∼80해무렵까지만 해도 아이어른 모두 맨발로 으레 달렸다. 신을 꿸 적보다 훨씬 잘 달릴 수 있기도 하다. 소나기가 지나가고 햇볕이 후끈하다. 낮에 가볍게 쉬고서 〈카프카의 밤〉에서 이응모임 여섯걸음을 편다. 맨손과 맨발과 맨몸을 바탕으로 오늘 이 숨빛을 나눈다. 《살림학 얼과 길》을 조금씩 읽는다. ‘살림학’이라는 이름에서 끝말은 ‘살림길’처럼 붙여야 어울리지 싶다. 살림살이는 ‘학(學)’이 아니라 ‘길’이니까. 그래서 “살림길, 얼과 넋”이라든지 “살림길, 얼과 씨”처럼 책이름을 슬쩍 손볼 수 있으면, 우리가 이 별에서 저마다 다르지만 한뜻과 한얼로 일구는 즐겁고 아름다운 씨앗살림을 새롭게 헤아릴 만하다고 본다. 예부터 모든 흙지기는 살림꾼이다. 굳이 살림순이나 살림돌이로 안 갈랐다. 나리(양반)나 임금·벼슬아치는 온통 사내밭이었어도, 시골에서 논밭을 돌보는 두 사람은 수수하게 사랑으로 맺은 살림길이었다. 우리는 모두 살림꾼이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