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4.10.9. 걷는 한글날
한글날이라면서 순우리말에 갇힌 글이 새록새록 넘친다. 다들 흉내나 시늉이나 척이다. 한 해 내내 살피고 헤아릴 적에 늘 말을 말다이 쓴다. 하루쯤 시늉해 본들 빈털터리에 쭉정이로 그친다.
쭉정이를 심어서 알뜰살뜰 가꾸려고 하면 바보이다. 속이 찬 씨알을 심어야 싹이 튼다.
늘 책을 읽는 사람은 책잔치에 부산을 안 떤다. 늘 책을 속읽기로 누리고 즐길 적에는 베스트나 스테디나 고전이나 명작이나 추천이나 권장을 기웃거리지 않는다. 그저 책을 읽는다.
글을 글답게 쓰고 말을 말답게 쓰니 사람답고 아이답고 어른답고 너답고 나답다.
껍데기는 가라고 외친 뜻을 읽어야지 싶다. 이른바 ‘코스프레’는 코스프레이다. ‘참나’가 아니다. 배우기는 아름답되 따라하기나 베끼기는 끝내 훔치기와 빼앗기로 기울더라.
그저 읽고 쓰고 말하자. 오직 사랑으로 읽고 쓰고 말하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