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성장 成長
성장이 매우 빠른 시기 → 매우 빨리 자라는 때
대도시로 성장되었다 → 큰고을로 자랐다 / 큰곳이 되었다
반항심만 성장되었다 → 대드는 마음만 커졌다
성장하는 열매 → 자라는 열매 / 자라나는 열매
크게 성장한 아이 → 크게 자란 아이 / 한껏 큰 아이
민족의식이 성장하다 → 겨레얼이 자라다 / 겨레얼이 높다
‘성장(成長)’은 “1. 사람이나 동식물 따위가 자라서 점점 커짐 2. 사물의 규모나 세력 따위가 점점 커짐 3. [생물] 생물체의 크기·무게·부피가 증가하는 일. 발육(發育)과는 구별되며, 형태의 변화가 따르지 않는 증량(增量)을 이른다”를 나타낸다고 합니다만, “자라서 점점 커짐” 같은 뜻풀이는 엉터리입니다. 말이 안 되지요. ‘자라다·크다·길다’나 ‘가다·나아가다·나고자라다’로 고쳐씁니다. ‘높다·늘다·붇다·불다’나 ‘거듭나다·다시 태어나다·무럭무럭’이나 ‘발걸음·발돋움·피어나다·뻗다’로 고쳐쓸 만합니다. ‘빗장열기·껍질벗기·손씻기·잘못씻기’나 ‘날개돋이·알깨기·허물벗기’로 고쳐쓰고, ‘꽃피다·살림꽃·살림멋·살림빛·삶빛’으로 고쳐씁니다. ‘새로가다·새로오다·새로걷다·새로서다’나 ‘열다·틔우다·한걸음 나아가다’로 고쳐써도 어울려요. ‘서다·우뚝서다’나 ‘돋다·싹트다·움트다’로 고쳐쓸 수 있고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성장’이 아홉 가지 더 나오는데, 모두 털어낼 만합니다. ㅅㄴㄹ
성장(星章) : 별 모양으로 된 휘장
성장(城將) : 성(城)을 지키는 장수
성장(城牆/城墻) : 성(城)의 담장
성장(盛壯) : 혈기가 왕성함
성장(盛粧) : 얼굴과 몸의 꾸밈을 화려하게 함
성장(盛裝) : 잘 차려입음
성장(筬匠) : [역사] 조선 시대에, 상의원(尙衣院)에 속하여 베틀의 바디를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성장(聖裝) : [가톨릭] 성의(聖衣)로 차려입음
성장(聲張) : 1. 소리를 크게 지름 2. 남을 비평함
지금은 식물들이 성장을 멈추고 잠시 쉬고 있거든요
→ 이제 푸나무는 그만 자라고 한동안 쉬거든요
→ 요새 풀꽃나무는 자라지 않고 한참 쉬거든요
《꼬마 정원》(크리스티나 비외르크·레나 안데르손/김석희 옮김, 미래사, 1994) 11쪽
아이들은 창조적인 지적 체험의 기쁨을 알지 못한 채 성장한다
→ 아이들은 살림을 새로 짓고 누리는 기쁨을 알지 못한 채 큰다
→ 아이들은 새로 배우고 맛보는 기쁨을 알지 못한 채 자란다
→ 아이들은 스스로 가꾸고 누리는 기쁨을 알지 못한 채 자란다
→ 아이들은 무언가 새로 빚고 즐기는 맛을 알지 못한 채 자란다
《키노쿠니 어린이 마을》(호리 신이치로/김은산 옮김, 민들레, 2001) 179쪽
사람들은 각기 다양한 성장 과정을 거쳐 하나의 인격체로 성장하지만
→ 사람들은 저마다 다르게 자라며 넋을 다지지만
→ 우리는 서로 다르게 살아오며 마음이 자라지만
《시각예술과 디자인의 심리학》(지상현, 민음사, 2002) 235쪽
무엇을 읽든 간에 모두 성장의 양식이 된다
→ 무엇을 읽든 모두 마음밥이다
→ 무엇을 읽든 모두 살림빛이다
→ 무엇을 읽든 모두 밑밥이다
→ 무엇을 읽든 모두 북돋아 준다
《대학인,그들은 대학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가와이 에이지로/이은미 옮김, 유원, 2003) 23쪽
오랫동안 지속한 우리네 공동체 문화를 붕괴하고 개인주의를 급성장시키고 있었습니다
→ 오랫동안 이은 우리네 두레살림을 무너뜨리고 혼알이를 확 키웁니다
→ 오랫동안 흐른 우리네 모둠살림을 허물고 혼잣길을 부쩍 북돋웁니다
《사람과 이야기》(민족사진가협회, 현자, 2006) 머리말
그는 딸의 성장을 벽 안쪽에서 지켜보며
→ 그는 크는 딸을 담 안쪽에서 지켜보며
《자유인의 풍경》(김민웅, 한길사, 2007) 98쪽
난 분명 성장해야 하는데, 날 성장하게 만드는 것은 없다
→ 난 틀림없이 자라야 하는데, 날 자라게 하는 것은 없다
→ 난 틀림없이 커야 하는데, 날 크게 이끄는 것은 없다
《나의 열여덟은 아름답다》(이현희, 나라말, 2008) 20쪽
신진작가가 중견작가로 성장하는 법인데
→ 새내기가 오래지기로 자라는데
→ 꼬마가 가운자리로 크기 마련인데
→ 새롬이가 오래글빛으로 나아가는데
《미학, 부산을 거닐다》(임성원, 산지니, 2008) 297쪽
국가의 투자 재원 부족으로 인해 성장이 저해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 나라살림이 모자라 더는 크지 않으리라 걱정했다
→ 나라돈이 메말라 축 처지리라 걱정했다
→ 나라에 밑돈이 바닥나 발돋움을 못하리라 여겼다
《그 많던 쌀과 옥수수는 모두 어디로 갔는가》(윌든 벨로/김기근 옮김, 더숲, 2010) 102쪽
엄마의 맛을 모르는 채 성장했다는 2호점 사장님
→ 엄마맛을 모르는 채 자랐다는 둘쨋집 지기님
→ 엄마맛을 모르는 채 컸다는 둘쨋가게 지기님
《맛보다 이야기》(나카가와 히데코, 마음산책, 2013) 150쪽
경제 효과 얼마, 미래 성장동력 어쩌고 하면서 말이지요
→ 돈으로 얼마, 새로운 밑힘 어쩌고 하면서 말이지요
→ 돈벌이 얼마, 앞길 여는 발판 어쩌고 하면서 말이지요
《4대강 사업과 토건 마피아》(박창근·이원영, 철수와영희, 2014) 19쪽
대도시에서는 도서관 붐이라고 할 만큼 괄목할 만한 성장이 이어졌지만
→ 큰고장에서는 책숲바람이라고 할 만큼 눈부시게 컸지만
→ 큰고을에서는 책숲물결이라고 할 만큼 돋보이게 자랐지만
《작은 책방, 우리 책 쫌 팝니다!》(백창화·김병록, 남해의봄날, 2015) 25쪽
습지를 없앤 공사를 하면서 ‘녹색 성장’이라고 한다거나
→ 늪을 없앤 삽질을 하면서 ‘푸르게 자란다’고 한다거나
→ 늪을 없앤 삽질을 하면서 ‘푸른길’이라고 한다거나
《말한다는 것》(연규동, 너머학교, 2016) 79쪽
병에 꽂아둔 두릅은 아무래도 성장이 늦고 크게 자라지 않는다
→ 병에 꽂아둔 두릅은 아무래도 더디 자라고 크게 자라지 않는다
→ 병에 꽂아둔 두릅은 아무래도 더디면서 잘 안 자란다
→ 병에 꽂아둔 두릅은 아무래도 더디면서 잘 안 큰다
《꽃을 기다리다》(황경택, 가지, 2017) 63쪽
시민들이 스스로 성장하도록 돕는
→ 시민들 스스로 자라도록 돕는
→ 시민 스스로 크도록 돕는
→ 시민 스스로 거듭나도록 돕는
《시민에게 권력을》(하승우, 한티재, 2017) 32쪽
나무의 성장은 더욱 빨랐던 것으로 보인다
→ 나무는 더 빨리 자란 듯하다
→ 나무는 더 빨리 컸구나 싶다
《귀소 본능》(베른트 하인리히/이경아 옮김, 더숲, 2017) 332쪽
채소의 성장을 잘 살펴보고 풀을 남길 곳을 찾아본다
→ 자라는 남새를 살펴보고 풀을 남길 곳을 찾아본다
→ 크는 푸성귀를 잘 보고 풀을 남길 곳을 찾아본다
《가와구치 요시카즈의 자연농 교실》(아라이 요시미·가가미야마 에츠코/최성현 옮김, 정신세계사, 2017) 35쪽
시민사회는 양지陽地에서 출현하고 성장할 환경을 보장받았다
→ 들꽃모임은 해터에서 나타나고 자라날 터전을 누렸다
→ 풀꽃두레는 볕터에서 태어나고 클 자리를 마련했다
《하프와 공작새》(장준영, 눌민, 2017) 33쪽
눈부시게 성장해 이제 세계적 글로벌 기업이 되었다
→ 눈부시게 커서 이제 널리 손꼽히는 자리가 되었다
→ 눈부시게 커서 이제 내로라하는 곳이 되었다
→ 눈부시게 커서 이제 두루 알려진 데가 되었다
→ 눈부시게 커서 이제 온누리 일터가 되었다
《촛불철학》(황광우, 풀빛, 2017) 187쪽
빵은 그 토지에서 나는 물과 밀가루와 기후, 문화에 맞춰 성장하는 것이란다
→ 빵은 그 땅에서 나는 물과 밀가루와 날씨, 살림에 맞춰 자란단다
→ 빵은 그 터에서 나는 물과 밀가루와 날씨, 살림에 맞춰 거듭난단다
→ 빵은 그 마을에서 나는 물과 밀가루와 날씨, 살림에 맞춰 새롭단다
《마사키의 빵 1》(야마하나 노리유키·타카하시 요시유키/김아미 옮김, 소미미디어, 2018) 79쪽
성장주의 경제 논리에 따르자면
→ 크기만 바라는 살림길로는
《크다! 작다!》(장성익, 분홍고래, 2018) 73쪽
사람은 저마다 자라는 힘, 성장하는 힘을 갖고 있습니다
→ 사람은 저마다 자라는 힘, 크는 힘이 있습니다
→ 사람은 저마다 무럭무럭 자라는 힘이 있습니다
→ 사람은 저마다 자라는 힘, 피어나는 힘이 있습니다
《상냥한 수업》(하이타니 겐지로/햇살과나무꾼 옮김, 양철북, 2018) 106쪽
사람은 누구나 어머니를 통한 생물학적 탄생 이후 고향이라는 지리적 바탕 위에서 성장한다
→ 사람은 누구나 어머니가 낳고 보금자리에서 자란다
→ 사람은 누구나 어머니한테서 나고 둥지에서 자란다
《못다 핀 꽃》(이경신, 휴머니스트, 2018) 100쪽
아들의 성장을 위해서니 어쩔 수 없지
→ 아들이 자라야 하니 어쩔 수 없지
→ 아들이 커야 하니 어쩔 수 없지
《천수의 나라 1》(이즈미 이치몬/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9) 155쪽
너와의 싸움으로 다시금 성장한 거야
→ 너와 싸우며 다시금 자랐어
→ 너랑 맞붙으며 다시금 컸어
《하이스코어 걸 6》(오시키리 렌스케/허윤 옮김, 대원씨아이, 2020) 9쪽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내적 성장’이다
→ 간추려 말하자면 ‘마음이 자란’다
→ 그러니까 ‘마음이 큰’다
《오늘도 삶을 읽어나갑니다》(이성갑, 스토어하우스, 2020) 112쪽
인천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매우 중요한 성장동력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 인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가 자라날 힘으로 크게 자리잡았다
→ 인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가 일어날 바탕으로 크게 자리잡았다
→ 인천뿐만 아니라 이 나라가 꿈틀댈 발판으로 넉넉히 자리잡았다
《여행자를 위한 도시 인문학, 인천》(정진오, 가지, 2020) 20쪽
난 마음의 성장에 놀라고 있다
→ 난 마음이 자라서 놀란다
→ 난 큰마음에 놀란다
《드래곤볼 슈퍼 14》(토요타로·토리야마 아키라/유유리 옮김, 서울문화사, 2021) 35쪽
지구는 빠른 성장이 가능했습니다
→ 푸른별은 빠르게 자랐습니다
→ 푸른별은 휙휙 컸습니다
《미래 세대를 위한 채식과 동물권 이야기》(이유미, 철수와영희, 2023) 21쪽
변화는 성장의 기회라고 하잖아
→ 너울은 자랄 틈이라고 하잖아
→ 바뀌며 자랄 수 있다잖아
《사랑하라 기모노 소녀 10》(야마자키 제로/이상은 옮김, 시리얼, 2023) 18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