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2024.7.27. 진주는 진주를
나는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기는 하지만, “언어적 가치”를 지키는 길이라고 느끼지 않는다. ‘말빛’을 쓰다듬고서 스스로 ‘말씨’를 심으면서 이웃이랑 함께 ‘말결’을 사랑하는 살림길을 바라볼 뿐이다. 마을(서울이건 시골이건)을 ‘지킨다’고 할 적에는, 꼭 그곳에 사람이 우글우글하면서 장사가 잘 되어야 하지 않는다고 느낀다.
“문화적 가치”라는 말은 “경제적 가치”라는 말처럼 붕뜬 허울일 텐데 싶다. 〈진주의 진주〉라는 영화를 찍으신 분이 “못 찍지”는 않았겠지만, 〈진주의 진주〉가 아닌 〈진주는 진주를〉이나 〈진주가 진주로〉처럼, 토씨 하나만 바꾸면서 바라보는 눈길을 열어 보려고 했다면, 아무래도 진주를 진주스러우면서 바다구슬(진주)로 밝히는 빛을 새롭게 일굴 만했으리라 느낀다.
‘문화예술’이란 ‘음악·문학·공연·회화·영상’이라는 겉모습이 아닌, ‘사람이 서로 사랑으로 짓는 푸른 살림살이’에서 비롯한다고 느낀다. “삼각지다방이라는 이름을 지켜야 할 까닭이 없는” 줄 알아야, 그곳 삼각지다방을 지킬 수 있다는 대목을, 감독도 배우도 시나리오작가도 놓치거나 안 본 듯싶다. 이를테면, ‘삼각지식당’이나 ‘삼각지도서관’이나 ‘삼각지책방’이나 ‘삼각지극장’이나 ‘삼각지어린이집’이나 ……, 그곳을 새롭게 가꾸어서 ‘찻집’ 노릇은 한켠에서 하되 그곳 속빛을 확 바꾸는 길이 얼마든지 있다. 이런 데에 마음을 기울이면 저절로 되살림도 지킴도 돌봄도 이룰 만하겠지.
목소리만으로는 아무것도 못 지킬 뿐 아니라, 지킬 수 있는 길까지 그르치기 쉽다. 몸으로 움직이고 마음을 기울이기에 지키고 돌보고 가꾸고 일으키고 나누면서 사랑한다. ‘죽어가’거나 ‘사라지’기 때문에 지켜야 하지 않는다. ‘추억·낭만’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없어지면 안 될까? 아니다. 삶과 살림과 사랑을 숲빛으로 품은 터전을 아이들한테 새롭게 물려주면서 누릴 빛씨앗 한 톨이 있을 때에 비로소 그곳이 스스로 이어갈 수 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