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5.


《잊혀진 미래》

 팔리 모왓 글·그림/장석봉 옮김, 달팽이, 2009.11.12.



간밤부터 비가 퍼붓는다. 아침에 빗물을 뜨기로 한다. 비날에는 빗물이 가장 맑고 싱그러우면서 맛나다. 서울이라면 빗물을 어떻게 마시느냐고 할는지 모르나, 비가 한참 내렸다면, 서울에서도 빗물을 받아서 마실 만하다. 더구나 서울에서도 풀꽃나무는 빗물로 자란다, 서울에서 텃밭을 하는 분도 “빗물 머금은 푸성귀”를 누린다. 이 빗물이야말로 푸른별을 살찌우고 파란바다를 북돋운다. 《잊혀진 미래》는 1952년에 처음 나온 “People of the Deer(사슴겨레)”를 옮겼다. 그즈음에 벌써 사라지려고 하는 살림터 한 곳에 오래 깃들면서 이야기를 갈무리한 꾸러미이다. 여러모로 보면, 우리나라에도 잊히면서 사라지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수두룩하다. 나라가 등졌기에 잊히지 않는다. 나·너·우리가 함께 등지기에 잊힌다. 배움터에서 안 다루기에 잊히지 않는다. 우리·나·너가 스스로 안 쳐다보기에 잊힌다. 풀꽃을 안 보면 풀꽃에 붙인 이름을 잊고, 풀꽃살림을 잃는다. 새를 안 보면 새가 왜 새인지 잊다가, 새한테서 배우던 살림과 보금자리를 잃는다. 바다를 잊으니 바닥난 마음이다. 바람을 잊으니 바람을 피운다. 오늘 바라보는 대로 마음이 자란다. 오늘 생각하는 길대로 저마다 삶을 이룬다.


#People of the Deer #사슴겨레

#FarleyMowat (1952년)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