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노년 老年


 노년에 들어서다 → 해넘이에 들어서다 / 저물다/ 늙다

 노년으로 접어들다 → 늘마에 접어들다 / 지는꽃이다

 노년의 외로움을 달래기 어려웠다 → 늙고 외로워 달래기 어려웠다


  ‘노년(老年)’은 “나이가 들어 늙은 때. 또는 늙은 나이”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끝·끝살림·끝삶·끝자리·끝자락’이나 ‘마지막·마지막길·마지막꽃·마지막줄·마지막삶·막바지’나 ‘늘그막·늙마·늙바탕’으로 손봅니다. ‘늙다·늙네·늙님·늙은네·늙으신네’나 ‘늙다리·늙둥이·늙은이·늙사람·늙은사람·늙은내기’로 손보고, ‘느지막이·느지거니·느지감치’로 손봐요. ‘저물다·저녁놀·저녁노을·저녁빛·저녁해’나 ‘지다·지는길·지는꽃·지는 나이·지는이·지는님·지는벗’으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해거름·해름·해질녘·해거름빛·해름빛·해넘이·해너머’로 손볼 만하고, ‘사그라들다·수그러들다·사그랑이·사시랑이’나 ‘사위다·사라지다·스러지다·슬다’로 손볼 수 있고, ‘하얀날·흰머리날·흰머리·흰바구니’로 손보면 됩니다. ㅅㄴㄹ



이제 노년기에 접어든 ‘위안부’ 여성들 한 명 한 명에게 진정으로 용서를 구하고 응분의 보상을 해야 할 것입니다

→ 이제 늘그막에 접어든 ‘꽃할머니’ 한 분 한 분한테 참답게 잘못을 빌고 제대로 값을 치러야 합니다

→ 이제 막바지에 접어든 ‘꽃할머니’ 한 분 한 분한테 제대로 잘못을 빌고 톡톡히 값을 치러야 합니다

→ 이제 끝자락에 접어든 ‘꽃할머니’ 한 분 한 분한테 잘못을 깊이 빌고 마땅히 값을 치러야 합니다

《일본군 ‘위안부’가 된 소녀들》(이시카와 이쓰코/손지연 옮김, 삼천리, 2014) 160쪽


내 동생의 노년이 조금 더 다채롭길 바라는 마음으로

→ 동생이 늘그막에 조금 더 넉넉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오늘도 핸드메이드! 2》(소영, 비아북, 2017) 9쪽


이 얼마나 행복하고 편안한 일인가. 노년이란 신께서 내린 평안인 것이다

→ 이 얼마나 즐겁고 아늑한 일인가. 늙음이란 하느님이 내린 선물이다

→ 이 얼마나 즐겁고 아늑한 일인가. 늘그막이란 하느님이 내린 보람이다

→ 이 얼마나 즐겁고 아늑한 일인가. 늙음은 하느님이 고맙게 내려주셨다

《요코 씨의 말 1》(사노 요코·기타무라 유카/김수현 옮김, 민음사, 2018) 35쪽


노년에 이른 작가의 문제의식이 치밀해질수록 글은 더 빽빽해지기 마련이고

→ 늘그막에 이른 글님은 생각이 깊을수록 글은 더 빽빽하기 마련이고

→ 막바지에 이른 글님은 눈빛이 찬찬할수록 글은 더 빽빽하고

《읽는 직업》(이은혜, 마음산책, 2020) 22쪽


치밀하게 노년을 설계하며

→ 늘그막을 꼼꼼하게 그리며

→ 막바지를 찬찬히 그리며

《오십에 하는 나 공부》(남혜경, 샨티, 2023) 5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