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닷물고기 남해편 ㅣ 한국 생물 목록 20
한정호 외 지음 / 자연과생태 / 2016년 9월
평점 :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5.4.
읽었습니다 316
민물에도 바다에도 헤엄이가 살아갑니다. 물에서 살면 ‘물숨·물짐승’이라 하고, 바다에서 살면 ‘바다숨·바다짐승’이라 하면 될 텐데, 우리는 여태 이런 이름은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더 본다면, ‘민물헤엄이·바다헤엄이’처럼 새롭게 이름을 붙일 만합니다. 《바닷물고기 남해편》을 곰곰이 읽었습니다. 전남 고흥에서 터를 잡고서 살아가기에 마녘바다 헤엄이를 살펴보려고 했습니다. 여러모로 잘 엮은 꾸러미라고 느끼되, ‘헤엄이’ 아닌 ‘물고기’라고 하는 ‘수산자원’이라는 눈길로만 바라보는 대목은 아쉽습니다. ‘헤엄이책’은 헤엄이랑 동무하거나 이웃하는 마음과 눈길로 여밀 수 있을까요? ‘먹잇감’으로 보는 눈하고, ‘동무·이웃’으로 보는 눈은 확 다릅니다. 민물에서도 바닷물에서도 헤엄이나 동무나 이웃이라면, 섣불리 잡아서 보기(박제)로 삼지 않겠지요. 사람도 바다에서 함께 헤엄을 치면서 마주할 적에는 사뭇 다르게 글과 그림으로 여미리라 봅니다.
《바닷물고기 남해편》(한정호·정현호·홍영표·박찬서·안제원·백운기, 자연과생태, 2016.9.19.)
ㅅㄴㄹ
바다에서 태어난 치어들은 무리 지어 연안으로 몰려와 부유생물을 먹는다
→ 바다에서 태어난 새끼는 무리지어 바닷가로 몰려와 물톡톡이를 먹는다
107쪽
꼬리 쪽으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해진다
→ 꼬리 쪽으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하다
151쪽
방추형으로 짧고 통통하며, 체고가 높다
→ 베틀북꼴로 짧고 통통하며, 몸이 높다
195쪽
새우류와 같은 저서동물뿐만 아니라, 식물성 먹이도 먹는다
→ 새우붙이 같은 바닥살이뿐만 아니라, 풀밥도 먹는다
24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