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다미 한자말

 천 千


 천까지 헤아렸다 → 즈믄까지 헤아렸다

 종이학 천 마리를 선물했다 → 종이두루미 즈믄을 주었다

 천 갈래 → 즈믄 갈래 / 즈믄길

 천에 하나 있다 → 즈믄에 하나 있다


  ‘천(千)’은 “백의 열 배가 되는 수 ≒ 일천”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우리말로 하자면 ‘즈믄’입니다. ‘즈믄길·즈믄꽃·즈믄빛’으로 나타내어도 어울립니다. 우리말 ‘즈믄’은 말밑이 ‘즐겁다’하고 맞닿습니다. ㅅㄴㄹ



천 명의 아이가 쓴 천 편의 시는 천의 얼굴처럼 다 다를 것이 당연하다

→ 즈믄 아이가 쓴 노래 즈믄 자락은 즈믄 얼굴처럼 마땅히 다 다르다

→ 즈믄 아이가 쓴 즈믄 가지 노래는 즈믄 얼굴처럼 마땅히 다 다르다

《아동시론》(이오덕, 굴렁쇠, 2006) 27쪽


천 개의 거짓말을 모아놓고

→ 즈믄 거짓말을 모아놓고

→ 즈믄 가지 거짓말을 모아

《쓸모없는 노력의 박물관》(리산, 문학동네, 2013) 16쪽


벚나무는 천 개의 눈을 뜨네

→ 벚나무는 즈믄 눈을 뜨네

→ 벚나무는 눈을 수북히 뜨네

→ 벚나무는 눈을 잔뜩 뜨네

《수학자의 아침》(김소연, 문학과지성사, 2013) 9쪽


1000년에 달하는 격차가 있지요

→ 즈믄해에 이르는 틈이 있지요

→ 즈믄해나 벌어지요

《삼국지 스피리츠 1》(아라카와 히로무·토코 준/김동욱 옮김, 애니북스, 2014) 5쪽


야생콩이나 풀뿌리 캐먹고 백년 천년 살 거냐고 비웃기도 하지만

→ 들콩이나 풀뿌리 캐먹고 온해 즈믄해 살겠냐고 비웃기도 하지만

→ 돌콩이나 풀뿌리 캐먹고 온해 즈믄해 살겠냐고 비웃기도 하지만

《야생초 밥상》(이상권, 다산책방, 2015) 129쪽


천 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식목의 땅이다

→ 즈믄 해 흐름을 자랑하는 푸나무 땅이다

→ 즈믄 해 살림을 자랑하는 나무밭이다

→ 즈믄 해 자취을 자랑하는 나무터이다

《도쿄 셔터 걸 2》(켄이치 키리키/주원일 옮김, 미우, 2015) 106쪽


천년을 수행하고도 낙방하다니

→ 즈믄해 갈고닦고도 떨어지다니

→ 즈믄해 닦고도 미끄러지다니

→ 즈믄해 애쓰고도 쓴맛이라니

→ 즈믄해 하고도 안되다니

《소녀 신선 1》(효미, 애니북스, 2018) 42쪽


사찰음식은 삼천 년의 지혜를 먹는다는 말이 있듯이 쌀로만 만든 음식은

→ 절밥은 석즈믄 해 슬기를 먹는다는 말이 있듯이 쌀로만 지은 밥은

→ 절집밥은 석즈믄 해 앎빛을 먹는다는 말이 있듯이 쌀로만 차린 밥은

《마음 풍경》(김정묘, 상상+모색, 2021) 102쪽


비로소 번호를 써넣게 되었다고 말하는데 … 제대로 기입되기까지 무려 천 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는 것입니다

→ 비로소 값을 써넣었다는데 … 제대로 써넣기까지 자그마치 즈믄 해가 넘었답니다

→ 비로소 눈금을 써넣었다는데 … 제대로 넣기까지 자그마치 즈믄 해가 걸렸답니다

《책은 시작이다》(오사다 히로시/박성민 옮김, 시와서, 2022) 4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