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물하는 삶
최문정 지음 / 컴인 / 2021년 3월
평점 :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1.28.
읽었습니다 306
겨울이 저물려는 무렵에는 여러 봄맞이풀이 올라옵니다. 아직 한겨울이라 하더라도 볕날을 여러 날 이으면 잣나물이 오르고, 코딱지나물도 나옵니다. 이러다가 맵바람이 잇달으면 봄맞이풀은 어느새 잦아들어 흙으로 돌아가지만, 다시 포근날이 찾아오면 쑥이 조물조물 고개를 내밀지요. 《식물하는 삶》을 곰곰이 읽다가 생각합니다. 곁에 푸른빛을 두고 싶다면 서울을 떠날 노릇입니다. 아주 쉬워요. 서울 한복판에서 돈벌이를 하지 말고, 서울밖으로 나가서 느긋이 보금자리를 일구면 됩니다. 숱한 사람들은 고된 줄 알면서 우정 서울에 남아서 아웅다웅합니다. 서울을 안 떠나는 삶이라 나쁠 까닭은 없고, 곁에 풀빛이 없으면 메마르거나 시드는 줄 알아차리기에 어떻게든 애쓰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서울을 확 줄여야 이 나라가 살아나고, 서울도 푸르게 빛납니다. 꽃그릇에 담는 흙은 어디에서 퍼오겠어요? 흙을 모두 잿더미로 뒤덮은 곳에서는, 꽃그릇도 말씨도 모두 꾸미는 허울에 갇힙니다.
ㅅㄴㄹ
《식물하는 삶》(최문정, 컴인, 2021.3.30.)
+
녹음이 지는 계절의 나무는 싱그러운 초록빛 잎으로 둘러싸여
→ 잎그늘이 지는 철에 나무는 싱그러이 푸른잎으로 둘러싸여
→ 숲그늘이 지는 철에 나무는 싱그러이 푸른잎으로 둘러싸여
15쪽
화려한 색의 옷을 입은 아름다운 미모로 내 마음을 흔드는 것만 같고
→ 곱게 물든 옷을 입은 얼굴로 내 마음을 흔드는 듯하고
→ 알록달록 차려입은 아름다운 빛으로 내 마음을 흔드는 듯하고
15쪽
시야를 풍성하게 채워 주는 큰 식물을 들일 마음은 결국 접어두고
→ 둘레를 푸지게 채워 주는 큰 푸나무를 들일 마음은 끝내 접어두고
17쪽
이 식물의 이름은 황금국수나무
→ 이 풀은 이름이 황금국수나무
→ 이 푸나무는 황금국수나무
1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