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관계 關係


 사제 관계 → 스승아이

 국제 관계 → 나라 사이

 관계 정상화 → 다시 사귐 / 사이를 풀다

 관계가 깊다 → 사이가 깊다

 관계를 청산하다 → 그쪽을 씻어내다 / 얽힌 일을 털다

 친구의 관계를 넘어 → 동무 사이를 넘어

 교육 관계 서적 → 배움 쪽 책 / 배움과 얽힌 책

 무역 관계의 일에 종사하다 → 장사 쪽 일을 하다

 관계를 가지다 → 살을 섞다

 자기와 관계를 가진 남자마다 → 저와 살을 섞은 사내마다

 당신이 무슨 관계야? → 네가 뭐야? / 네가 왜? / 네가 왜 끼어들어?

 사업 관계로 → 일 때문에 / 일로

 하수도 공사 관계로 → 수챗길을 내느라 / 수챗길을 파느라


  ‘관계(關係)’는 “1. 둘 이상의 사람, 사물, 현상 따위가 서로 관련을 맺거나 관련이 있음 2. 어떤 방면이나 영역에 관련을 맺고 있음 3. 남녀 간에 성교(性交)를 맺음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4. 어떤 일에 참견을 하거나 주의를 기울임 5. (‘관계로’ 꼴로 쓰여) ‘까닭’, ‘때문’의 뜻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관련을 맺다”로 풀이하는 ‘관계’인데 ‘관련(關聯/關連)’은 “둘 이상의 사람, 사물, 현상 따위가 서로 관계를 맺어 매여 있음”으로 풀이해요. 돌림풀이입니다. ‘맺다’를 찾아보면 “5. 관계나 인연 따위를 이루거나 만들다”로 풀이하기에 겹말풀이가 되기까지 해요. 간추려 보자면 ‘관계 = 관련을 맺음’이고, ‘관련 = 관계를 맺음’이라는데 ‘맺다 = 관계를 이루다’라는 셈입니다. 가만히 살피면 ‘관계’는 ‘사이’로 손볼 만하고, ‘이어지다’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관계없다’란 “안 이어진다”는 뜻이면서 ‘동떨어지다’나 ‘멀다’로 손볼 만한 셈입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관계’를 워낙 아무 곳에나 쓰기 때문에 흐름을 살펴서 그때그때 손질하면 됩니다. 이를테면 ‘같이하다·함께하다·벗·부축·빔’이나 ‘거들다·곁들다·도와주다·돕다·동이다·두름손’이나 ‘매다·매듭·맺다·고리·이음고리’로 손봅니다. ‘줄·끈·노·땋다·묶다·밧줄’이나 ‘끼다·기어들다·끼어들다·들다·들어가다’나 ‘다가가다·다가서다·닿다·대다·손대다·손쓰다·파고들다’로 손보지요. ‘살다·-살이·삶·몸담다·몸두다·섞다’나 ‘트다·열다·알다·얼크러지다·얽다·어울리다·어우러지다’나 ‘갈랫길·-뻘·사이·새·선·섶’으로 손보고, ‘기웃거리다·넘겨보다·들여다보다·바라보다·보다·속보다·쳐다보다’로 손봅니다. ‘깁다·기우다·꿰맞추다·꿰매다·실·실타래·여미다·엮다’나 ‘넝쿨·넌출·덩굴·수레바퀴·톱니·톱니바퀴·우리’로 손보아도 어울리고, ‘때문·뜻·-로서·탓’이나 ‘이다·이어가다·잇다·있다·지내다’로 손볼 수 있어요. ‘마음담다·마음쓰다·마음있다·만나다·머금다’나 ‘맞닿다·맞물다’나 ‘자라다·자리·주변·주변머리·쪽·터·터전’으로 손볼 자리도 있습니다. 이밖에 낱말책은 한자말 ‘관계’를 다섯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냅니다. ㅅㄴㄹ



관계(官契) : [역사] 관가(官家)에서 증명한 문서

관계(官界) : 국가의 각 기관이나 그 관리들의 활동 분야

관계(官桂) : [한의학] = 육계(肉桂)

관계(官階) : 관리나 벼슬의 등급 ≒ 관등(官等)·관벌·관위·관장·관질(官秩)·관차(官次)·관품(官品)

관계(關契) : [역사] 군사적 사명을 띠고 관문을 통과하는 사람에게 내주던 나무 표지



복잡한 인간관계를 몸소 체험해 볼 수도 있고

→ 어지러운 사람살이를 몸소 느껴 볼 수도 있고

→ 실타래처럼 얽힌 일을 겪어 볼 수도 있고

《한국 KOREA, 그 내면과 외면》(마크 드 프라이에/편집부 옮김, 행림출판, 1990) 190쪽


플랑크는 공진자들의 평균 에너지와 그것들의 엔트로피 사이의 관계에 대해 하나의 특수한 가정을 세움으로써

→ 플랑크는 떨림돌 나란힘과 힘값 사이에서 한 가지 틀을 새로 세워서

→ 플랑크는 맞울림 고루힘과 빛값이 얽힌 틀을 새롭게 세워서

《막스 플랑크》(존 L.하일브론/정명식·김영식 옮김, 민음사, 1992) 19쪽


본인의 승낙이 있고 없음에 관계없이

→ 스스로 받고 않고를 안 따지고

→ 스스로 받아들이고 아니고를 떠나

→ 그 사람이 하겠다거나 말거나

《일본군 군대위안부》(요시미 요시아키/이규태 옮김, 소화, 1998) 181쪽


회전의자에 앉아 빈둥거리는 남자들 사이의 관계를

→ 돌림걸상에 앉아 빈둥거리는 사내들 사이를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김종철, 삼인, 1999) 333쪽


대등관계로 연결되지 않고 주종관계로 이루어진 문장을 말한다

→ 나란히 잇지 않고 앞뒤로 짠 글월을 말한다

《교양인을 위한 우리 한문》(우리한문연구회, 소명출판, 2001) 235쪽


어쩌다가 상명하복의 관계나 인간적인 친밀감을 이용하여 여성을 강제로 소유하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 어쩌다가 위아래나 따스한 사이를 앞세워 순이를 억지로 쥐락펴락했는지 알 수 없다

→ 어쩌다가 윗자리나 좋은 사이를 앞세워 순이를 마구 쥐락펴락했는지 알 수 없다

《톨스토이처럼 죽고 싶다》(김별아, 이룸, 2001) 85쪽


백성들에게 길흉(吉凶)과 화복(禍福)이 장사(葬事)지내는 것과는 관계없음을 알게 해야 할 것이다

→ 사람들한테 삶길이 무덤길하고는 다른 줄 알려야 한다

→ 사람들이 삶과 죽음길이 동떨어진 줄 알아야 한다

《북학의》(박제가/김승일 옮김, 범우사, 2002) 181쪽


두 명의 독신 여성들끼리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

→ 두 혼가시내끼리 사이좋게 지내는 길을 뜻하는 말

→ 두 혼순이끼리 오순도순 어울리는 삶을 뜻하는 말

《아내》(매릴린 옐롬/이호영 옮김, 시공사, 2003) 468쪽


생생하고 상호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 생생하고 서로 도울 줄 아는 힘이 크다

→ 생생하고 서로 헤아릴 줄 아는 힘이 있어야 한다

《희망은 있다》(페트라 켈리/이수영 옮김, 달팽이, 2004) 177쪽


우리에게는 관계 없는 일이야

→ 우리하고 동떨어진 일이야

→ 우리한테는 모르는 일이야

→ 우리 일이 아니야

《소믈리에 9》(아라키 조·카이타니 시노부/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9) 23쪽


한국의 생활협동조합은 먹을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 우리나라 살림두레는 먹을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다

→ 우리나라 살림품앗이는 먹을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다

《밥상혁명》(강양구·강이현, 살림터, 2009) 152쪽


힘든 건 시간 부족도 있지만, 정신적인 고민이나 관계를 풀어 나가는 문제가 더 클 겁니다

→ 힘들 땐 짬도 없지만, 걱정이나 또래부터 풀어 나가야 합니다

→ 힘들다면 틈도 없지만, 근심이나 동무부터 풀어 나가야 합니다

《얘들아! 들꽃 피는 학교에서 놀자》(강벼리, 푸른나무, 2010) 144쪽


떨어져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이어 나간다

→ 떨어져 있는 사람들과 그대로 사귄다

→ 떨어진 사람들과 그대로 알고 지낸다

《다카스기 家의 도시락 2》(야나하라 노조미/채다인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11) 111쪽


남녀관계와 상관없이 정말 아름다웠어요

→ 둘 사이를 떠나 참말 아름다웠어요

→ 순이돌이를 떠나 참으로 아름다웠어요

《골목길 연가 2》(아소우 미코토/최윤정 옮김, 시리얼, 2011) 39쪽


종이 쪽지로 조건 지어진 혼인이란 부부관계가 아닙니다

→ 종이쪽으로 틀을 지어 맺는들 짝꿍 사이가 아닙니다

→ 종이쪽으로 맺는다고 가시버시가 되지 않습니다

→ 종이쪽으로 맺는다고 가시버시이지 않습니다

《아나스타시아 6 가문의 책》(블라지미르 메그레/한병석 옮김, 한글샘, 2011) 25쪽


나와 의형제 관계일 뿐 그들과 아무 상관이 없는데

→ 나와 마음지기일 뿐 그들과 안 얽혔는데

→ 나와 너나들이일 뿐 그들하고 먼데

《말에서 내리지 않는 무사 3》(허영만, 월드김영사, 2012) 9쪽


내연의 관계라는 표현은

→ 시앗이라는 말은

→ 속사람이라는 말은

→ 둘째라는 말은

《내 사람이다》(곽정은, 달, 2012) 51쪽


사건 관계자들은 가벼운 처분으로 서둘러 사건을 종결하려고만 하고 있었다

→ 이 일에 얽인 이들은 가볍게 서둘러 일을 마치려고만 했다

→ 이 일에 얽인 이들은 가벼이 서둘러 끝내려고만 했다

《아니야, 우리가 미안하다》(천종호, 우리학교, 2013) 124쪽


우리 관계, 친구 흉내 같은 게 아니지?

→ 우리 사이, 동무 흉내 따위가 아니지?

→ 우리들, 동무 흉내 따위가 아니지?

《목소리의 형태 3》(오이마 요시토키/김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5) 165쪽


성소수자들은 동거하면서 함께 살아가더라도 제도적으로 그 관계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 나란짝은 함께 살아가더라도 나라에서 이 틀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 나란짝꿍은 한집에서 함께 살더라도 둘레에서 이 살림을 헤아리지 않습니다

《숨통이 트인다》(황윤과 열 사람, 포도밭, 2015) 125쪽


눈에 보이는 공간뿐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관계의 빈 공간’이 필요하다

→ 눈에 보이는 자리뿐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빈 자리’를 둬야 한다

→ 눈에 보이는 곳뿐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에도, ‘서로 빈 곳’를 둬야 한다

《마음의 서재》(정여울, 천년의상상, 2015) 67쪽


자신과 관계없다는 생각이 이 사회를 얼마나 나쁘게 만들어 왔는가

→ 나와 동떨어졌다는 생각이 이 삶터를 얼마나 나쁘게 이끌었는가

→ 나와 멀다는 생각이 이 나라를 얼마나 나쁘게 이끌었는가

《하이타니 겐지로의 생각들》(하이타니 겐지로/햇살과나무꾼 옮김, 양철북, 2016) 98쪽


어쨌든 엄마가 무슨 말을 해도 우리가 결혼하는 거랑은 관계없으니까

→ 어쨌든 엄마가 무슨 말을 해도 우리 짝맺기하고는 동떨어졌으니까

→ 어쨌든 엄마가 무슨 말을 해도 우리 꽃살림하고는 다르니까

→ 어쨌든 엄마가 무슨 말을 해도 우리 사이를 어떻게 할 수 없으니까

→ 어쨌든 엄마가 무슨 말을 해도 우리 꽃가마을 막을 수 없으니까

→ 어쨌든 엄마가 무슨 말을 해도 우리 살림에 끼어들 수 없으니까

《코우다이 家 사람들 3》(모리모토 코즈에코/양여명 옮김, 삼양출판사, 2016)  16쪽


오랫동안 반목적 관계를 형성해 왔다

→ 오랫동안 부딪쳐 왔다

→ 오랫동안 다툰 사이였다

→ 오랫동안 등진 채 지냈다

《국립공원 이해와 관리》(신용석 글, 자연과생태, 2016) 593쪽


삶에도 관계에도 여유가 없었고 

→ 삶에도 사람에도 느긋하지 않고

→ 삶에도 서로한테도 틈이 없고

《들꽃, 공단에 피다》(아사히 비정규직지회, 한티재, 2017) 91쪽


우리는 물고기와의 관계를 새로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는 물고기와 새롭게 사귈 수 있으리라

→ 우리는 물고기하고 새로 만날 수 있다

→ 우리는 물고기하고 새로 어울릴 수 있다

→ 우리는 물고기랑 새로운 사이가 될 수 있다

《물고기는 알고 있다》(조너선 밸컴/양병찬 옮김, 에이도스, 2017) 10쪽


전화번호만 누르면 함께한 관계들을 아직은 볼 수 있듯

→ 따르릉만 누르면 함께한 사이를 아직은 볼 수 있듯

→ 알림꽃만 누르면 함께한 틈을 아직은 볼 수 있듯

→ 알림길만 누르면 함께한 날을 아직은 볼 수 있듯

《그러나 돌아서면 그만이다》(안정옥, 문학동네, 2017) 62쪽


서로 속도를 맞춰 가며 천천히 함께 걸어갈 때 관계는 탄탄하고 건강해지죠

→ 서로 발을 맞춰 가며 천천히 함께 걸어갈 때 둘 사이는 탄탄하지요

→ 서로 발을 맞춰 가며 천천히 함께 걸어갈 때 사이는 한결 튼튼하지요

《10대와 통하는 심리학 이야기》(노을이, 철수와영희, 2017) 147쪽


나하고 사귀기 시작하고 나서도 줄곧 관계를 지속했다는 뜻이네

→ 나하고 사귀고 나서도 줄곧 만났다는 뜻이네

→ 나하고 사귀고 나서도 줄곧 어울렸다는 뜻이네

《은빛 숟가락 13》(오자와 마리/노미영 옮김, 삼양출판사, 2017) 22쪽


나비는 꿀벌보다 식물과 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살아가고 있어

→ 나비는 꿀벌보다 식물과 더 가까이 어울려 살아가지

→ 나비는 꿀벌보다 푸나무와 더 가까이 어우러져서 살지

→ 나비는 꿀벌보다 풀꽃과 더 가까이 이웃이 되어 살아가

→ 나비는 꿀벌보다 풀과 더 가까이 이웃을 맺고 살아

《선인장은 어떻게 식물원에 왔을까?》(정병길, 철수와영희, 2018) 42쪽


나와의 관계가 좋다면 그건 그대로 괜찮은 삶이 아닐까

→ 나와 사이가 좋다면 그땐 그대로 좋은 삶이 아닐까

→ 나와 잘 지낸다면 그땐 그대로 즐거운 삶이 아닐까

《나를 조금 바꾼다》(나카가와 히데코, 마음산책, 2019) 26쪽


일이란 기본적으로 인간관계다

→ 일이란 모름지기 사람일이다

→ 일이란 으레 사람만남이다

→ 일이란 사람사이가 바탕이다

《서점의 일생》(야마시타 겐지/김승복 옮김, 유유, 2019) 260쪽


그렇지 못하면 그 관계성을 잃는 경우가 많아

→ 그렇지 못하면 서로 깨지는 일이 잦아

→ 그렇지 못하면 서로 틀어지는 일이 잦아

《공전 노이즈의 공주 2》(토우메 케이/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19) 55쪽


폭력과 힘의 관계를 알아야

→ 윽박질과 힘 사이를 알아야

→ 주먹질과 힘을 알아야

《정주진의 평화 특강》(정주진, 철수와영희, 2019) 136쪽


인간관계를 설명할 때

→ 사람살이를 말할 때

→ 사람삶을 다룰 때

《한 줄도 좋다, 만화책》(김상혁, 테오리아, 2019) 69쪽


정말 좋은 친구는 수평적인 관계에서 상대방을 존중하는 친구입니다

→ 참다운 동무는 나란히 서서 아낄 줄 압니다

→ 참된 동무라면 어깨동무하며 서로 헤아립니다

《체벌 거부 선언》(아수나로 엮음, 교육공동체벗, 2019) 55쪽


관계의 지형을 드러내기 위한 은유로 모자람 없이 작동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장면들이다

→ 어떻게 얽혔는지 잘 빗대는 대목이다

→ 얽힌 모습을 잘 그리는 대목이다

《태도가 작품이 될 때》(박보나, 바다출판사, 2019) 128쪽


이런 관계 컴포터블

→ 이런 사이 아늑해

→ 이런 사이 좋아

→ 이런 사이 포근

《행복한 타카코 씨 4》(신큐 치에/조아라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20) 55쪽


무역을 하려면 상하관계를 청하여 명이 위고 다른 나라는 아래라는 이념이지

→ 장사를 하려면 위아래를 바라며 명이 위고 다른 나라는 밑이라는 뜻이지

→ 사고팔려면 높낮이를 여쭈어 명이 위고 다른 나라는 밑이라는 얼개이지

→ 길을 트려면 틀을 여쭈어 명이 위고 다른 나라는 밑이라는 소리이지

《노부나가의 셰프 22》(니시무라 미츠루·카지카와 타쿠로/강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2020) 60쪽


뜨뜻미지근한 삼각관계를 이어가고 싶겠지만 말이야

→ 뜨뜻미지근히 세모꼴을 이어가고 싶겠지만 말이야

→ 뜨뜻미지근히 줄타기를 이어가고 싶겠지만 말이야

《메종 일각 10》(타카하시 루미코/김동욱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0) 130쪽


인간관계의 핵심은 봐주는 겁니다

→ 사람살이는 봐주어야 합니다

→ 잘 지내려면 봐줍니다

→ 사람은 서로 봐주며 삽니다

《용수 스님의 사자》(용수, 스토리닷, 2021) 216쪽


어차피 적정 거리를 유지하는 관계이니

→ 뭐 알맞게 떨어져 지내니

→ 아무튼 제법 틈을 두고 어울리니

→ 어쨌든 틈새를 지키며 만나니

《결혼 탈출》(맹장미, 봄알람, 2021) 7쪽


우리 가족과 뭔가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 우리 집안과 뭔가 얽혔을까요

→ 우리 집과 뭔가 잇닿을까요

《마로니에 왕국의 7인의 기사 3》(이와모토 나오/박소현 옮김, 소미미디어, 2022) 61쪽


관계가 진전되고 격의 없는 사이가 되면

→ 자주 만나고 허물없는 사이가 되면

→ 더 만나서 사이좋게 지내면

《가볍게 읽는 한국어 이야기》(남길임과 일곱 사람, 경북대학교출판부, 2022) 34쪽


이 관계는 나에게 마지막 히든카드 같은 거예요

→ 이 사이는 나한테 마지막이에요

→ 이 자리는 나한테 끝힘이에요

《태어나기 전 사랑을 계획하다》(로버트 슈워츠/추미란 옮김, 샨티, 2023) 237쪽


두 분 다 대등한 관계라서

→ 두 분 다 나란한 사이라서

→ 두 분이 어깨동무라서

《카이니스의 황금새 4》(하타 카즈키/이주엽 옮김, YNK MEDIA, 2023) 6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