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4.1.3. 비장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한자말 ‘비장’은 ‘비장(秘藏)’하고 ‘비장(悲壯)’ 두 가지를 으레 쓰고, 한글로만 적어서는 못 알아볼 만합니다. 이럴 적에 어떻게 바라보는지 스스로 돌아볼 노릇입니다. 한글로만 적어서 못 알아보니까 한자를 따로 배워야 할까요? 아니면, 한글로만 적을 적에 쉽게 알아보도록 우리말로 고쳐쓰는 길을 배워야 할까요? 두 갈래 가운데 어느 쪽이든 배움길입니다. 이때에 우리나라는 으레 ‘한자 배움길’로만 기울어요. 요새 훅 퍼진 ‘문해력’이란, “한글로만 적을 적에 못 알아보는 한자말을 달달 외우는 틀”이기 일쑤입니다.


  어린이는 ‘문해력’이란 한자말조차 외워야 합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이때에 생각을 할 노릇입니다. 왜 어린이가 바로 알아듣지 못 할 말을 자꾸 쓰나요? 나중에 중국말이나 일본말을 익히려면 으레 한자와 한문을 배워야 합니다. 그런데 어릴 적에 우리말부터 제대로 배우지 않는다면, 우리 삶터를 나타내고 가리키고 밝히는 이름을 제대로 모르는 채 지나가고 말아요.


  ‘숨기다·감추다·가리다·덮다·묻다’를 가려쓸 줄 모르는 채 ‘비장(秘藏)’이란 한자말만 외운들 글눈(문해력)을 못 키웁니다. ‘씩씩하다·꿋꿋하다·굳다·의젓하다·야물다·대차다·야무지다·당차다’를 가려쓰지 못 하면서 ‘비장(悲壯)’이란 한자말만 외운들 그야말로 글눈이 얕습니다.


  손발이 한창 자라야 할 어린이한테 짐을 무겁게 얹으면 어린이는 못 자라거나 곪거나 쓰러지거나 죽기까지 합니다. 어린이는 먼저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배울 일입니다. 우리말이 왜 우리말인지 차근차근 느긋하게 배우고 나서야, 영어나 한자나 여러 이웃말을 배울 수 있어요. 어린이는 열두어 살까지 영어는 그저 놀이처럼 소릿결을 들으면 되어요. 귀를 틔우고서야 영어를 받아들여야 제대로 배웁니다. 한자도 매한가지예요. 억지로 외우라 시킨다거나, “우리 삶터 곳곳에 한자말이 많으니 달달 외워서 글눈을 키우라”고 몰아세우면, 어린이도 어른도 고단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