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온난화 2023.12.11.달.



집이라는 곳은 따뜻하게 쉬고 포근하게 품는 마음이 흘러야겠지. 안 따뜻하다면 괴롭잖아. 너희가 사는 별은 너희한테는 커다란 집이야. 너희 넋으로서는 너희 몸이 ‘옷’이나 ‘집’이지. 몸을 누이는 집이 있고, 이 집을 품는 숲과 마을이 있어. 그리고 숲과 마을을 별이 넉넉히 품는단다. 별은 너른누리(우주)가 새롭게 품는데, 너른누리도 또다른 온누리(대우주)가 품지. 이 모든 곳은 씨앗 한 톨이 새록새록 품어. 씨앗 한 톨에는 온누리가 다 들어가고도 남는단다. 모든 다른 누리는 크기로 보거나 따지지 않거든. 요즈막에 너희는 ‘달군다(온난화)’고 하더구나. 겨울이 안 춥고, ‘늘얼음’이 자꾸 녹는다고 하던데, 좀 얄궂지 않아? 부릉부릉 몰잖아? 부릉길(찻길)을 자꾸 늘리잖아? 흙집이 아닌 잿집(아파트·시멘트집)에서 살잖아? 끝없이 그림(영상·영화·방송)을 찍어대잖아? 날개(비행기)는 또 얼마나 많이들 타니? 들숲을 파헤쳐서 ‘관광지·체육관’을 또또 세우잖아? 다 너희가 벌인 짓 탓인데, 너희 ‘서울살이(도시문명)’는 더 키우면서 말만 시끄럽더구나. 온통 쓰레기밭인 별을 치우려면 겨울이 따뜻해야 해. 모기와 파리가 겨울에도 일해야 하거든. 서울이라면 바퀴벌레가 겨우내 몹시 애써야겠지. 예전에는 겨울이면 이 아이들이 포근히 자면 되었는데, 이제는 겨울에도 ‘치움일’을 해야 하니까, 파리모기에 개미에 숱한 벌레가 겨우내 못 쉬면서 바쁘단다. 그러니 ‘재우는 겨울눈’이 아닌 ‘씻고 치우는 겨울비’가 내려. 부디 하늘땅을 읽고 사랑하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