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2.2.
《늘 봄일 순 없지만》
권냥이 글·그림, 권냥이, 2022.3.3.
팔다리도 쉬고 눈코귀도 쉰다. 올해에는 고흥에서 여러 푸름이를 만나서 이야기꽃을 들려주었고, 노래꽃(시)을 쓰는 길을 들려주었고, 이웃 여수 어린이를 두 달에 걸쳐 만나면서 말빛을 스스로 가꾸는 눈망울을 알려주었다. 한 해 동안 신나게 달린 이야기를 어떻게 추스르고 여밀는지 곰곰이 생각하면서 등허리를 편다. 누워서 바람소리를 듣는다. 밤에는 별빛을 헤아린다. 말이란 마음에서 오고, 마음이란 사랑에서 오고, 사랑이란 서로 마주하는 사람으로서 살림을 짓는 하루에서 스스로 일군다. 《늘 봄일 순 없지만》을 내놓은 권냥이 님이 《독립서점을 그립니다》란 이름으로 책을 선보였다고 한다. 마을 한켠에 새롭게 서면서 책으로 징검다리 노릇을 하는 ‘마을책집’이다. 부릉부릉 달려가는 데가 아닌, 느긋이 철빛을 느끼면서 걸어가는 마을책숲이다. 숲에서 태어나고 자라는 나무한테서 얻은 숨결에 이야기를 얹은 책을 나누는 마을책터이다. 이제 큰책집 아닌 마을책집으로 우리 눈썰미를 바꿀 수 있다면, 나라도 고을도 마을도 보금자리도 스스로 가꾸면서 거듭날 만하리라 본다. 큰길로 가도 나쁘지 않되, 오솔길에 들길에 바닷길에 바람길에 별길에 꿈길에 사랑길에 살림길을 잊어버린 눈길이나 손길이나 발길이라면 덧없다.
《독립서점을 그립니다》(권냥이, 생애, 2023.7.29.)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